Лента постов канала [삼성 전종규] 차이나는 투자전략 (@jkc123) https://t.me/jkc123 차이나 전략입니다. ru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20 Aug 2025 08:36:1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20 Aug 2025 08:11:0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20 Aug 2025 03:26:4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9 Aug 2025 04:45:26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9 Aug 2025 04:36:0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18 Aug 2025 07:14:3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un, 17 Aug 2025 04:31:4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at, 16 Aug 2025 07:30:45 +0300
Подробнее
21.55 k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at, 16 Aug 2025 05:46:0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13 Aug 2025 07:52:30 +0300
11조 달러시장이 움직인다

중국 본토 상승


블룸버그도 참지 못하고 중국 주식시장 상승에 대한 코멘트를 내놓았습니다.

Mainland households, flushed with record-high savings, are turning to equities for better returns as interest rates continue to drift lower. The amount of margin loans taken out to buy stocks climbed to the highest level since 2015 this week. The momentum is also seen in the monthly average turnover on onshore exchanges, which is on track for a third month of advances.

상승의 원동력은 무지막지한 가계의 유동성 유입이라는 진단입니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투자 센티멘트가 좋아졌나봅니다. 미중 분쟁도 끝나가고 9월, 10월 큼직한 정책이벤트가 있으니 이번에 올라가자는 마인드입니다.

본토는 성장주와 CSI300이 그나마 낫습니다. 펀더멘털이 뒷받침되는 곳에 베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홍콩과 항생테크가 1순위입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2 Aug 2025 09:38:41 +0300
상해증시 더 올라갈수 있나?

10년 만의 고점 도전


- 상해증시가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하반기 들어 6.4% 상승하며 3,700pt를 목전에 두고 있는데요, 반등배경이 흥미롭습니다.

- 홍콩증시가 숨고르는 구간에서 본토시장이 상승하는 배경은 유동성과 정책 기대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1) 역사적인 초저금리(예금금리 1%대)와 부동산 장기침체로 개인투자 유동성이 유입되고 있고

2) 9월 3일 전승식과 10월 4중전회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시장 친화적인 정책 출시 기대가 상승한다는 것입니다.

미중 관세 90일 유예 결정도 시장 불확실성 완화 요인으로 반영됩니다.

향후 전망: 여전히 조심스럽게

- 본토 증시가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보수적인 대응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상해지수 3,700포인트 돌파는 15년 유동성 버블 붕괴 이후 가장 높은 가격으로 상승하는 것인데요,

- 유동성과 정책 기대에 비해서 펀더멘털이 아직 취약합니다. 이익전망이 바닥에서 반등하지 못하고 있고 밸류에이션은 P/E 기준 13배로 평균(11.9배)을 넘어섰습니다.

- 유동성 장세는 오버슈팅을 만들수 있지만 지수의 레밸업보다는 펀더멘털 개선이 뒷받침되는 기술주, 내수 중심의 대응이 좋겠습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2 Aug 2025 04:20:31 +0300
미중 90일 관세유예 발표

반기는 중국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지난 5월 합의한 90일 관세 휴전의 마지막날인 이날 '관세 휴전'을 90일 더 연장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CNBC와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코멘트>

12일 중국 신화사는 스톡홀름 무역회담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예고된데로 90일 관세유예에 따라서 미국의 대중국 추가관세는 145%에서 30%로 낮아졌는데요,

중국은 불확실성이 제거되었다는 좋은 소식으로 반겼습니다. 크리스마스 시즌까지 대미 수출 충격이 완화될 것으로 보는겁니다.

52%의 관세도 매우 높은 수준이나, 관세조정에 따라서 신흥국 관세는 19~50%로 결정된 바 있습니다. 미중 2단계 협상은 트럼프의 <펜타닐 관세 20% 인하, 첨단산업 규제완화>와 시진핑주석의 <무역적자 축소, 시장개방, 위안화>로 압축되겠습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2 Aug 2025 03:09:39 +0300
7월 중국 전기차, 배터리 판매

고공행진


- CAAM, 7월 중국 자동차 생산량 및 판매량은 각각 259.1만대(YoY +13.3%)와 259.3만대 기록(+44.7%). 신에너지차 판매량과 수출량은 126.2만대(+27.4%)와 22.5만대(+17.3%)

- 중국 배터리 산업연맹은 7월 중국 전기차 배터리 생산량과 판매량이 각각 133.8GWh와 127.2GWh로 전년대비 44.3%, 47.8% 증가 발표

※ 전기차와 배터리 판매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나 가격경쟁 완화에 이에 따른 판매 영향이 주목됩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12 Aug 2025 02:50:18 +0300
7월 중국 물가지표

디플레의 늪, 공급과잉 해소 관건


- 7월 중국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는 각각 -3.6%와 0%를 기록했습니다.

- PPI의 하락세가 여전한 것은 공급과잉 리스크를 반영한 것으로 정부는 가격경쟁(출혈경쟁) 완화를 명령했음에도 디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히 높다는 것을 반영한것입니다.

- 하반기 정부정책은 수요촉진과 공급측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더 적극적인 재정확대와 과감한 과잉생산 감축이 요구됩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11 Aug 2025 11:21:09 +0300
트럼프 발언 해설서

쇼미더 머니


미국과 중국 사이의 '관세 휴전' 만료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현지시간 11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미국산 대두 구매를 4배로 늘릴 것을 압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중국은 대두 부족에 관해 우려하고 있다. 우리의 훌륭한 농부들은 가장 실한 대두를 생산한다"며 "나는 중국이 빨리 대두 주문을 4배로 늘리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코멘트>

트럼프의 대두수입 4배 늘리라는 요구는 중국이 미국 농산물 수입을 6백억달러 이상으로 올리라는 의미입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중국의 대미국 농산물 수입액은 연환산 147억달러입니다.

2020년 1차 무역합의 내용도 중국이 미국 농산물수입 6백억 달러, 상품수입 2천억달러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실질적인 미중 2단계 무역합의로 가는 중요한 품목입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11 Aug 2025 03:54:03 +0300
트럼프, 엔비디아 중국 수출 "이익 15% 납부"

전례없는 계산법


미국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을 승인받는 조건으로 미국 정부에 '중국에서의 반도체 판매수익(revenues from chip sales in China)'의 15%를 납부하기로 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FT는 10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엔비디아가 H20의 중국 판매수익 15%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지급하고, AMD도 MI308의 중국 판매수익에 대해 같은 비율을 정부에 납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이 돈을 어디에 쓸지는 알려지지 않는다.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들은 올해 초 반도체 수출통제 확대 전 엔비디아의 가이던스를 토대로 올해 엔비디아가 중국에 H20을 약 150만개 판매해 약 230억달러(약 32조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11 Aug 2025 02:07:06 +0300
트럼프 이번에는 인도?

인도증시와 중국 시총격차 확대


(블룸버그 인용)

인도의 주식 시장은 현재 중국 시장보다 6조 3,000억 달러 뒤처져 있으며, 이는 3월 이후 가장 큰 격차입니다. MSCI 인도 지수는 이번 분기에 중국 지수보다 10% 포인트 뒤처지고 있으며 2017년 이후 가장 큰 연간 실적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인도의 대미 수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그 중 절반에는 러시아산 석유 구매에 대한 벌금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수입품에 대해 인도를 겨냥했지만 모스크바에서 훨씬 더 많이 구매하는 중국은 대부분 간과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휴전 연장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별적인 타겟팅은 이미 인도의 밸류에이션 상승과 수익 성장 둔화를 경계했던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은 인도 주식에서 약 30억 달러를 인출했는데, 이는 2월 이후 가장 많은 금액입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at, 09 Aug 2025 11:43:34 +0300
관세의 역설

금값 사상최고치 돌파


미국이 1kg짜리 금괴에도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값이 선물가격 기준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습니다.

백악관이 "잘못된 정보"라며 수습에 나서면서 급격히 상승 폭을 줄였지만, 관세 혼란 속에 금값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at, 09 Aug 2025 07:10:4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Fri, 08 Aug 2025 01:37:41 +0300
BCA Call

중국의 살얼음판 랠리


- 중국 주식시장의 상승은 경기하강 사이클과 디커플링되는 아슬아슬한 랠리

- 밸류에이션 리바운드에 리테일 투자자의 자금유입이 주가상승의 원동력

- 중국 밸류에이션도 더 이상 매력적이지 않고 경기하강에 대한 경기부양 의지도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조심해야할 구간

※ 상해증시는 올해 조용하게 연초대비 8.6% 상승(홍콩H지수는 23.2% 상승)하여 3,700pt를 도전합니다. 3,700포인트 돌파는 15년 유동성 장세 이후 10년 만의 도전입니다.

중국의 초저금리 시대에 증시로의 자금유입이 더 이루어진다면 3,700포인트 돌파 여부가 관건이 되겠습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hu, 07 Aug 2025 05:13:17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hu, 07 Aug 2025 03:06:4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06 Aug 2025 07:46:2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06 Aug 2025 00:30:2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05 Aug 2025 05:06:3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05 Aug 2025 04:14:0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ue, 05 Aug 2025 03:55:1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04 Aug 2025 04:25:1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04 Aug 2025 03:33:52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Sat, 02 Aug 2025 03:44:17 +0300
8월 중국 주식시장 전망

무거운 시장, 성장에 집중하라!


7월 상해 3.7%, 홍콩H 2.4% 상승: 7월 중국 주식시장은 반등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상해 증시와 홍콩H는 각각 3.7%, 2.4% 상승하였는데요, 이는 예상보다 견조했던 상반기 경제 지표와 7.30 정치국 회의를 전후로 한 정부 정책 강화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7월 주요국의 지수 등락률은 한국 KOSPI(+5.7%) > 미국 S&P500(+2.2%) > 일본 Nikkei(+1.4%) > 독일 DAX(+0.7%) 순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중국 증시는 7월 후반부에 조정 물량이 출회되면서 소폭의 주가 조정이 나타났습니다.

주요 이슈: (1) 재정 부양, (2) 미중 협상, (3) Restructuring

정부의 시간: 『세 가지 정책 이슈』 8월 금융시장은 1) 재정 부양 강화, 2) 미중 무역 협상 진전, 3) Restructuring 이 세 가지 정부 정책을 반영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7월 정치국 회의가 종료됨에 따라 재정확대, 미중 협상, 공급 개혁 이슈가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데요, 7월 정치국회의에서 재정 부양의 톤이 낮아졌습니다. 신형 인프라, 소비촉진, 기술자립 투자 모멘텀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중 무역 협상의 경우, 스톡홀름 3차 고위급 회담이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으나, 올 가을 미중 정상회담 개최와 2차 무역 합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전쟁이 마무리 단계에 진입하면서 글로벌 무역 구조 재편이 점차 가속될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15.5 경제규획의 검토를 거쳐 연말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공급 측 구조조정과 신성장 동력(내수/첨단 제조) 육성 정책이 점차 강화될 것입니다.

증시 전망: 숲보다 나무, Growth α 강화

지수 밴드: 『상해 3,400~ 3,700pt, 홍콩H 8,500~ 9,500pt』 8월 상해지수와 홍콩H 밴드로 각각 3,400~ 3,700pt, 8,500~ 9,500pt로 제시합니다.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과 경기 둔화 우려를 감안할 때 지수의 반등은 제한될 것입니다. 기술주와 내수 중심의 주가 차별화에 포커스를 맞추어야겠습니다.

시진핑 지도부는 ‘2차 공급 구조 개혁’에 착수하였습니다. 전기차/배터리, 태양광 등의 과잉 생산 규제가 시작되었으며 9월 중 공급 개혁 방안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15년에 이어서 공급 측 구조 개혁이 재개되는 것입니다.

포트폴리오 전략: 『Growth α』 중국 내수와 빅테크 중심의 성장형 알파 전략을 유지합니다. 차이나 테크는 1) 정부 정책, 2) 펀더멘털(실적), 3) 밸류에이션 투자매력이 남아있습니다. 1차 공급 측 구조 개혁 사이클 ’17~’20년 구간에서 MSCI China 성장주는 164.2% 초과 성과를 달성한 바 있는데요, 중기적 관점에서 2차 공급 구조 개혁의 수혜 섹터 ‘빅테크와 내수’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할 것입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Fri, 01 Aug 2025 03:38:13 +0300
8월 중국 증시 전망

무거운 시장, 성장에 집중하자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Fri, 01 Aug 2025 02:43:58 +0300
트럼프 관세 전쟁

무역구조 재편 가속


8.1일 트럼프 상호관세 체제가 본격적으로 가동됩니다. 관세협상이 부진했던 인도, 대만, 남아공도 나란히 25%, 20%, 30%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선진국 15%, 신흥국 20~30% 관세체제에서 중국이 마지막 합의 대상으로 남았습니다. 북경의 목표는 32% 관세율이 될 것입니다.

올 가을 미중 정상회담 개최여부가 분기점입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Thu, 31 Jul 2025 01:17:15 +0300
(수정) 고관세 시대의 귀환

한미 협상 타결


트럼프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전쟁이 막바지 단계로 접어들었습니다. 한국은 오늘이 운명의 날인데요, 방금 결과가 보도되었습니다. 15% 관세와 2주뒤 한미 정상회담 개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차별화"로 새 지도를 그렸습니다. 선진국 동맹은 15% + 알파, 신흥국은 25%~50%의 고관세입니다.

특히 브릭스는 관세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브라질 50%, 심지어 인도도 25%입니다. 브릭스 경제에 강력한 경고를 던진것입니다.

미국에 대한 최대 무역흑자 국가, 중국이 아직 최종합의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포스트 고관세 시대는 경제블록의 분절화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30 Jul 2025 10:42:05 +0300
7.30 정치국 회의 결과

중신증권 참조


7월 정치국회의 결과는 "특별한 것은 없다."로 정리할 수 있으나 통화/재정 부양 기조를 유지하고 4중 전회 일정이 10월로 결정되었다고 정리됩니다.

이제부터 부양정책, 공급측 개혁의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될 것입니다.

<언론보도>

해마다 7월 정치국회의에서는 상반기 경제 실적을 검토하고 하반기 정책 방향을 확정하는 자리로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올해는 지난 6월 회의에서 “당 중앙의 정책 결정의사 협조기구 설립”을 발표한 뒤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을 견제하는 기구라는 해석과 함께 4중전회 발표가 미뤄지면서 7월 정치국회의가 더 큰 시선을 끌었다.

이날 신화사 발표에 따르면 20기 4중전회는 예년의 5중전회에서 논의했던 5개년 계획 건의안 심의가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15·5 기간(2026~2030년) 중국은 전략적 기회와 위험 및 도전이 병존한다”고 전망하며 “자기 일을 잘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격렬한 국제경쟁 속에서 전략적 주도권을 확보하며, 중국식 현대화의 전반적 국면에 관련된 전략적 임무에서 중대한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향후 5년간 미국과 경쟁에서 앞서나가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취지다.

하반기 경제 정책과 관련 위기감을 강조하며 기존 정책을 반복했다. 회의는 “중국의 현재 경제 운영이 여전히 많은 위험과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규정한 뒤, 내수 진작, 미국발 관세에 노출된 산업과 고용 안정, 비효율적이고 무질서한 경쟁 단속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거시 정책과 관련해서는 4월 정치국회의 발표를 똑같이 반복했다. “더욱 적극적인 재정 정책과 온건하고 완화한 통화정책”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다만 주택문제에 대한 언급이 눈에 띄게 줄어든 점은 의외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택 지원에 대한 형식적 언급조차 사라졌다. 대신 “지방정부의 부채 리스크를 적극적이고 신중하게 해결해야 하며, 새로운 숨겨진 부채 발생을 엄격히 금지하라”며 부채가 금융위기를 촉발하지 못하도록 예방을 강조했다.

7월 정치국회의를 끝으로 중국 수뇌부는 휴양지에서 퇴임한 상무위원급 원로와 현직 수뇌부가 모여 휴양과 회의를 병행하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에 돌입한다. 특히 올해 베이다이허에서는 오는 10월 4중전회에서 논의할 군 및 요직 인사와 세대교체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베이징 외교가는 전망하고 있다.

한편, 관영 신화사는 이날 지난 23일 시 주석이 비당원 인사들과 하반기 경제 정책을 논의하는 좌담회를 갖고 “정책을 선전하고, 의문을 해소하며, 정서를 바로잡고, 공감대를 형성할 것”을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Wed, 30 Jul 2025 00:08:24 +0300
3차 미중 협상은 "진행형"

유예연장


미국과 중국 고위급 대표단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무역 협상을 마무리했습니다.

양측은 서로 부과하기로 했던 관세 유예 기한을 추가로 연장하기로 뜻을 모았는데,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에 달렸다고 밝혔습니다.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결정적인 딜이 성공하지 못한것인데요, 디테일면에서는 20% 의 펜타닐 관세 인하와 "시장대개방, 위안화"가 맞설수 있습니다.

시한은 좀 더 뒤로 미루고 가을 미중 정상회담에서 결정지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t.me/jkc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28 Jul 2025 23:27:36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Mon, 28 Jul 2025 02:40:1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Fri, 25 Jul 2025 03:30:0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1387804752 Fri, 25 Jul 2025 01:25:33 +0300
Подробне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