Лента постов канала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WoosanXNNN) https://t.me/WoosanXNNN 열정 넘치는 두 명의 PB가 변화하는 섹터와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 언급한 섹터/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고,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 여부를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 작성된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ru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12:55:0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11:52:1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10:49:4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10:48:5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09:57:3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at, 23 Aug 2025 04:52:1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22 Aug 2025 11:42:5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22 Aug 2025 04:47:3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21 Aug 2025 11:44:5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21 Aug 2025 03:13:33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21 Aug 2025 02:31:3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21 Aug 2025 02:21:2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20 Aug 2025 12:51:28 +0300
어안이 벙벙하네요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4303366642269288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20 Aug 2025 11:10:33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20)
(https://m.blog.naver.com/s1kkw/223977211031)

與 김현정, 배당소득 최고세율 35%→25% 개정안 발의…"이대론 안돼"(조세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366297?sid=101
: 배당소득 최고세율은 매우 중요한 문제. 최근 정부여당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서 우려거 커져왔는데 다시금 기대감을 불러올 수 있는 소식. 다만 발의에 이어 실제로 법이 통과되는 것이 중요

“10년간 연말 코스피 수익률 1.15% 올랐다”… 반박 나선 기재부(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2977?sid=101
코스피 PBR 묻자 구윤철 부총리 “10”…개미 분노에 기름 끼얹었다 [이런국장 저런주식](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2803?sid=101
: 기재부안 보다 진일보한 배당소득 분리과세를 여당이 내놓은 것은 희소식이지만 기재부는 여전히 답답 스탠스. 연말 코스피 수익률이 대주주 양도세 기준과는 상관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기재부장관은 PBR이 10이라는 답변을 내놓는 등 여전히 주식시장에 찬물을 끼얹는 중

[단독] "韓 밸류업 의지 있나"…글로벌 IB 대거 방한(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2755?sid=101
: PBR 1배를 넘어선 이후 주춤하는 현재 국면에서 정부가 얼마나 의지를 가지고 있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

중국, 한한령 해제?…K팝 아이돌, 9년 만 중국 단독 공연(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44358?sid=103
: K팝 아이돌 케플러가 9/13에 중국 푸저우에서 단독 콘서트 개최 확정. 최근 콘텐츠 개방을 위한 움직임에 이어 K팝 아이돌의 단독 콘서트까지 허가하기 시작. 한한령은 거의 해제되는 수순

'케데헌' 9주차에 다시 넷플릭스 주간 1위…역대 영화 1위 눈앞(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74846?sid=103
李대통령, ‘케데헌’ 감독·트와이스 만난다… K팝 미래 논의(서울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67004?sid=100
: 케데헌의 인기가 아직도 지속되고 있으며 역대 영화 1위까지 넘보는 중. 소프트 파워를 강조해온 대통령까지 케데헌 감독과 트와이스를 만날 예정

‘케데헌’에 나온 라면·새우깡 실제로 출시…농심, 캐릭터 담아 한정판으로(경향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90664?sid=101
: 불닭과 같은 브랜드 파워를 만들어내지 못한 농심은 케데헌 열풍에 올라타기 위한 제품 출시

K콘텐츠 열풍에… 외국인 관광객 지갑 열렸다(세계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61277?sid=101
: 이러한 콘텐츠를 통한 K컬쳐 확산으로 자연스럽게 방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국면. 즉석사진관, 네일숍, 노래방 등에서 외국인 카드 사용이 급증했다는 보도. 역시나 경험 위주로 소비하는 모습

[단독] 원전 100기 짓는 美부터 EU·日까지…핵심시장 다 내줬다(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2681?sid=101
비공개 원전 합의문 유출, 배후는?…산업부·한수원 논란 확산(에너지경제)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819028148128
: 어제 크게 기사가 나왔던 전정부의 원전 관련 독소조항 이슈가 오늘까지 계속되고 있음. 다만 주기기 및 핵심 기자재 업체들 입장에서는 해당 로열티 문제와 크게 관련이 없다는 점도 시장에서 점점 강조되기 시작

[단독]K-원전, 美 진출한다…한·미 정상회담서 협력 강화 논의(문화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730587?sid=100
: 추가적으로 한미정상회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한수원-웨스팅하우스이 JV 형태를 통해 함께 미국 내 원전 진출을 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옴

기재부 "정부, 한-미 조선업 협력 적극 지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briefing/actuallyView.do?newsId=148947837&call_from=naver_news
: 어제 조선 산업 쪽에서 노이즈가 되었던 MASGA 관련 기금 문제도 기재부가 공식 프리핑 통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언급. 기금 형태가 아니더라도 어떠한 식으로든 지원은 들어갈 것으로 보임

"美, 보조금 주고 삼성전자 지분취득 검토"…투자냐 강탈이냐(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36820?sid=104
: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에 이어 보조금을 받아 미국 내 공장을 투자하는 삼성전자/TSMC 등의 지분도 취득을 검토중이라는 소식이 나옴. 보조금을 주는 대신 지분도 가져가겠다는 것인데 투자인지 지분 강탈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

[단독] 카톡, 내달부터 인스타그램처럼 바뀐다(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24081?sid=105
: '친구' 탭이 인스타그램 처럼 게시물 형태가 노출된다는 것.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효과가 클 수 있을 지는 의문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20 Aug 2025 06:05:56 +0300
25.08.20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2차, 3차 비상용발전기 수주, 수주금액 627억 원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20 Aug 2025 06:04:43 +0300
■ 지엔씨에너지_[데이터센터 신규/증축/착공 허가 데이터] 25.07월 신규/증축 허가 1건, 착공 허가 1건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데이터센터 신규/증축허가 1건
1) (신규)한화그룹 제2데이터센터, 연면적 1.8㎡, 수전용량 9.9MW ​

데이터센터 착공허가 1건
1) 대전광역시 대덕구 평촌동 케이알로지스 데이터센터, 연면적 5.8㎡

* 구체적인 사업 내용 파악되지 않음


데이터센터 25.06월 신규/증축/착공 허가 없었지만 25.07월 신규허가 1건, 착공허가 1건 있었습니다. 한화그룹 제2데이터센터 사업 내용 분명하나 수전용량 9.9MW이며 상대적으로 큰 건은 아닙니다. 착공허가 난 대전 케이알로지스 데이터센터는 연면적 5.8㎡로 규모 제법 되는 것 같은데 구체적인 사업 내용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

25.08.20 오늘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비상용발전기 신규 수주 있습니다. 2차 50MW, 3차 30MW 로 파악됩니다. 총 수주금액 627억 원이며 MW 당 수주액 7.84억 원입니다. 지난 SK울산데이터센터 보다 단위 용량 당 수주금액 다소 줄었습니다. 다만 23년 이후 수주데이터 보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인 것은 분명합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76827442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20 Aug 2025 04:28:25 +0300
2025.08.20 10:03:35
기업명: 지엔씨에너지(시가총액: 4,918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네이버 주식회사
계약내용 : 데이터센터 각 세종 비상용 발전기(2.3차분)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627억

계약시작 : 2025-08-20
계약종료 : 2029-03-31
계약기간 : 3년 7개월
매출대비 : 27.71%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20900044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11985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1985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9 Aug 2025 11:49:48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19)
(https://m.blog.naver.com/s1kkw/223975979862)

[단독] 기재부 업무보고에 '주식 양도세 강화' 빠졌다(SBS Biz)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58250?sid=101
金총리 "주식 양도세 기준 50억→10억 강화, 시장 반응 보며 판단할 것"(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2624?sid=100
: 여전히 다른 변수도 아닌 대주주 양도세 기준으로 인해 시장이 출렁이고 있음. 투자자로서 매우 스트레스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총리는 여전히 이에 대해 정확히 인지를 하고 있는 지 의심스러운 발언중

"외국인 큰손들, 한국 증시 개혁 조처 아직 잘 모르고 불신 커"(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73219?sid=101
: 대주주 양도세 이슈와 같이 작은 문제도 빠르게 해결이 안되는 상황에서 2차 상법개정을 준비 중이지만 외국인 큰손 중심으로 증시 개혁에 대한 의심이 늘어날 수밖에 없음. 매우 중요한 배당소득 분리과세 문제도 수면 아래로 내려가 있음

[단독] 한미 조선 협력 겨냥…이 대통령, 트럼프에 '거북선 선물' 검토(JTBC)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453204?sid=100
[단독] 조선협력기금 제동 건 기재부…“기금 요건에 맞지 않아”(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2551?sid=101
: 외교적 메세지와 정부 내 부처의 입장간 조율이 잘 되지 않는 모습. 외교적으로는 미국에게 조선업 협력을 강조하며 당근을 주고자 하고 있는데 기재부는 기금에 제동을 걸고 있음

中관영매체 “韓 제조 선박, 미군작전에 쓰이면 잠재적 위험 초래할 수도”(디지털타임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76208?sid=104
: 실제 얼마나 영향을 줄지는 모르겠으나 중국에서 한국과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에 대해 견제하는 듯한 메세지를 내놓은 것도 섹터에 부담으로 작용한 듯. 다만 길게보면 이러한 견제 자체가 중국 조선업에게 위협이 되는 이슈임을 반증하는 것으로도 보임

[단독] 尹 무리수에 K-원전 '50년 족쇄'…美에 원전 1기 당 1조원 보장(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2241?sid=101
: 전 정부에서 지지율 반등을 위해 무리수를 두었던 것으로 보임. 섹터 주가도 변동성을 키우는 모습. 다만 정확히 어떠한 조건인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확인은 필요한 사안

중국, 해외 우수 콘텐츠에 문호 확대…한한령도 해제될까(연합뉴스TV)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72169?sid=103
: 일단 드라마 등 콘텐츠의 중국 방영은 기정 사실화 되어가는 중. 아이돌 그룹의 단독 투어까지 가능해질 지는 모르겠으나 첫 단추는 잘 꿰어지고 있음. APEC 때 시진핑이 방한한다면 한한령 해제는 더욱 가속화될 것

엔비디아, 중국향 차세대 AI 칩 ‘B30A’ 개발…수출 규제 속 시장 수성 전략(MSTORY)
https://www.m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558
: 블랙웰 아키텍쳐 기반 새로운 중국용 AI 칩 출시 예정. 중국향 매출의 15%를 정부에 넘겨야 하는 상황에서 신제품을 통해 가격을 더욱 올릴 필요도 있어 보임

엔비디아 HBM 베이스다이 자체 생산 추진...공급망 역할 변화 '촉각'(더구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90691
: 유료 기사여서 자세한 내용이 확인이 되지 않음. 실제 제목 대로라면 SK하이닉스 중심으로 메모리 업체들의 역할이 매우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확인 필요

갤럭시 팔아 퀄컴에 8조…삼성, 엑시노스에 사활(한국경제TV)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20443?sid=101
: 파운드리 분위기가 좋아지는 국면에서 엑시노스도 확실하게 부활해준다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음. 파운드리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전체로도 매우 중요한 문제

"2030년 2조 시장 열린다"…인도 Z세대, K뷰티 빠졌다(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93381?sid=101
: 꼭 인도가 아니더라도 이제 전세계 Z세대는 K컬쳐 확산과 함께 K뷰티 수요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국면. 해당 기사의 분석은 인도에서 기존보다 더욱 공격적인 성장률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임

"생산·부품 모두 미국에서"…현대차·기아, 관세 충격에 현지화 가속(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36928?sid=101
: 어쩔수 없는 선택이며 가야할 방향. 다만 국내 노조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을 지는 의문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9 Aug 2025 06:57:29 +0300
해외 확장 기회 여전한 K뷰티기업들, 주가 하락은 기회일까? f. 하나증권 기업분석팀 박은정 수석연구위원

https://youtu.be/KlN1frDQZBs?si=gnr0iVD7d9phHPmU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8 Aug 2025 15:36:15 +0300
■ 2차전지 Weekly 이배속: 전기차 부진하지만 이미 실적 추정치 반영된 기업들은 매수 기회 (하나증권 김현수 애널리스트)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요약]
- 9/30 미국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유럽은 8월부터 전년도 전기차 부진의 기저 효과가 점진적으로 사라지는 시기
: 장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성은 확고하지만 당장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실적은 25~26년 전기차 부문 부진을 소화해야

- 그럼에도 불구 주가 측면에서의 기회는 이전보다 커졌다고 판단
: 전기차 부진에도 매수 가능 기업들이 하나 둘씩 생기는 이유는 두 가지

1) 전기차 부진이 실적 추정치에 기반영된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
: LGES의 경우 25년 전기차 배터리 부문 매출 YoY -15% 감소, 26년 Flat 전망중. 전기차 부진이 이미 상당부분 반영된 수치
: 향후 매수 가능 기업들을 선별할 때도 전기차 부진이 이미 추정치에 반영되어 있느냐 여부가 중요

2) 26년까지 전기차 부진 불가피한 가운데, 이를 메꿔줄 ESS 시장의 성장성이 확고해졌다는 점
: 트럼프 정부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 많은 것들이 변화했지만 OBB 법안에서도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에게 지급되는 투자세액공제는 생존. 27년까지 신규 프로젝트 투자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미국 가정용 태양광 사업자 Sunrun의 신규 태양광 설치량 중 ESS 결합 비율이 70%인점 고려하면, 향후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증가는 ESS 설치량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 높음
: 27년부터는 저가 EV 출시 본격화 및 자율주행 기반 전동화 동력 가속화로 전기차 시장 회복 예상되는 가운데, 그 전까지의 배터리 수요 부진을 ESS 시장이 메꿔줄 수 있는 상황

: 미국 ESS 시장내 침투율 90%인 상황에서 올해부터 대중국 일괄 관세 부과로 ESS 사업자들의 배터리 관세 비용이 크게 상승한 상황
: 현재 ESS 배터리에 대해 총 37.5% 관세 부과 중인데, 26년 부터는 ESS 배터리 관세가 25%로 상향되어 현 추세대로면 총 55%의 ESS 배터리 관세 부과
: 향후 협상에 따른 변화 여지 있으나 총합 45% 이상의 ESS 배터리 관세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현재 미국 내 가동중인 중국 기업들의 ESS 배터리 CAPA는 3GWh가 유일
: 반면 LGES은 25년말 17GWh, 26년말 30GWh의 CAPA 확보가 예상됨. 삼성SDI는 25년말 6GWh, 26년말 17GHw의 북미 ESS 배터리 라인 가동 예상
: 연간 북미 ESS 시장 규모는 약 60GWh 수준

- 이를 모두 종합하면, 26년까지는 전기차 부진의 여파가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기한 ESS 시장의 수혜 힘입어 한국 기업들의 실적이 방어될 수 있을 것
: 셀 메이커는 AMPC 수혜로 ESS로 인한 매출 증가 대비 이익 증가폭이 크다는 점에서 Top pick으로 제시
: 양극재 기업들은 AMPC 수혜가 없다는 점에서 아직 전방위적으로 매수 확장하기 보다는 LFP 양극재 증설 계획 뚜렷한 기업에 대한 선별 접근 권고


[첨언]
우리나라 증시에서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2차전지 섹터에 대해서도 꾸준한 업데이트를 노력 중입니다. 2차전지 섹터가 북미 ESS 기대감을 바탕으로 반등을 시작한 국면에서 과거 2차전지 섹터 과열 당시 가장 먼저 톤을 꺾으며 고생했던 하나증권 김현수 애널리스트의 의견이 점점 궁금해지는 시기입니다. 실제로 최근 수년 만에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비엠의 투자 의견을 BUY로 전환하며 주목을 받은 바도 있습니다.

김현수 위원은 꾸준히 Weekly 자료를 통해 섹터 의견을 공유 중인데 최근 확실히 톤이 점차 좋아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2차전지 섹터 과열 당시에는 매도 의견을 내었고 과열이 식은 이후에도 여전히 실적 추정치 하향을 소화해야 한다는 점과 밸류에이션 부담을 이유로 몇몇 종목에 대한 Trading Buy 수준의 의견만 개진해왔습니다. 하지만 약 한 달 전 Weekly 보고서 부터는 몇몇 종목에 대해서 꽤나 긍정적인 의견을 개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완전한 톤 변화로 보기에는 애매한 면도 많아 보입니다. 실제로 현재 북미 ESS 성장 기대감이 붙고는 있지만 여러 자료를 살펴보아도 우리 기업들이 어느 정도의 점유율로 어느 정도의 이익을 낼 수 있을 지 파악이 어려운 것으로 보입니다. 일각에서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높은 관세를 부담하더라도 중국 LFP 배터리를 구입하는 것이 북미 ESS 수요처 입장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기대가 컸었던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둔화와 유럽 등 미국 외 지역에서의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점유율 하락 등 부정적인 소식만 전해지던 섹터에 북미 ESS 성장 기대감은 낮아진 섹터 주가 레벨에서 분명 좋은 모멘텀입니다. 모든 숫자 추정이 가능해지며 명확해진 이후에는 주가적으로는 기회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펀더멘탈에 대한 명확한 변화 없이 기대감에만 기댄 섣부른 비중 확대도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시장보다 먼저 수혜 규모를 스터디 해보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입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8 Aug 2025 11:39:31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18)
(https://m.blog.naver.com/s1kkw/223974623334)

예상 웃돈 미국 생산자물가에 우려 커지는 ‘관세 인플레’(국민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96347?sid=101
: CPI 발표 이후 9월 금리 인하가 기정 사실화 되었으나 PPI가 높아도 너무 높게 나옴. MoM +0.9% 상승했는데 예상치는 +0.2% 수준.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견디던 것으로 보여 향후 관세로 인한 CPI 상승 압박 우려가 커지면서 9월 빅컷은 커녕 인하 기대감도 줄어들기 시작

'美 50% 철강 관세' 407종으로 확대…국내 산업 직격탄 우려(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92715?sid=101
: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줄어들었던 관세 관련 우려도 갑자기 다시 커지는 중. 알루미늄/철강 관련 품목 관세 종류를 크게 늘렸으며 어디까지 해당되는 지 정확히 파악도 어려운 상황이라 관련 우려가 있는 쪽은 일단 주가 조정이 발생

희토류 쥔 中, 서방 기업에 재고 비축 금지령(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21422?sid=104
: 희토류를 통해 무역 전쟁에서 나름의 우위를 지키고자 하는 중국은 서방국 기업들이 재고 축적을 하는 것 마저 금지하는 모습.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임

푸틴 이어 젤렌스키 만나는 트럼프…우크라戰 끝내나(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426064?sid=104
: 푸틴을 직접 만났던 트럼프가 젤렌스키까지 만날 예정. 미러간 정상회담에서는 따로 합의가 없었는데 결국 우크라이나 젤렌스키에게 영토 등 양보를 받아내며 전쟁을 끝내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많은 상황

李대통령, '케데헌' 언급하며 "K콘텐츠 세계 확산 전략 마련"(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70772?sid=100
: 이재명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K컬쳐의 확산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지원을 지속할 예정

K뷰티 제대로 체험하고 간 김해 김씨 ‘킴 카다시안’(스포츠동아)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382/0001217044
: 해외에서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들도 꾸준히 한국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있음. K푸드와 K뷰티/미용기기 등을 SNS로 다루는 모습

SK하이닉스, '1c D램' LPDDR5X 개발 성공…SoCAMM 등 AI 메모리 겨냥(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86316?sid=105
: 순탄해 보이던 SK하이닉스의 1c 디램도 살짝 노이즈가 있었으나 경쟁사 대비 여전히 디램 선단공정에서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중

삼성전자, 평택 'P5' 4층서 한층 줄여 착공 '속도'(딜사이트)
https://dealsite.co.kr/articles/146607
: 정확한 용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HBM 시장 진입,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및 리스크 관리 등의 이유로 규모를 줄이고 속도를 높이는 모습. 삼성전자의 내년 HBM 시장에서의 점유율 상승 전망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음

삼성,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 얼굴용 OLED 공급…"차세대 기술 경쟁 본격 점화”(글로벌이코노믹)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8180639459260fbbec65dfb_1/article.html
: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반도체, 배터리에 이어 디스플레이까지 협력이 다방면으로 늘어나고 있음


‘폴더블’의 힘…삼성 미 점유율 8%p 급등(디지털타임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75731?sid=105
: 삼성의 미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이 QoQ +8%p 상승한 31%를 기록. 아이폰 새제품 출시가 얼마 남지 않은 효과도 있으나 얇게 잘 만든 이번 폴더블 영향도 존재하는 듯

4대은행 스테이블코인 준비 한창…서클 만나고 기술검증도 추진(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70268?sid=101
“日국채 ‘진공청소기’ 될 것"…엔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코앞(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92591?sid=101
: 시장 관심이 크게 줄어든 스테이블 코인 테마. 다만 뉴스 플로우는 점점 강해지고 있음. 국내에서도 준비가 빨라지고 있으며 일본은 발행 직전. 근본적으로 여러 국가들이 국채 수요가 늘어날 필요성이 있기에 꾸준히 이야기는 나올 수밖에 없을 것

정부 "차세대 이동통신 선점⋯AI-RAN 등 실증사업 확대"(아이뉴스2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57636?sid=105
: 특화망 5G, 오픈랜, AI-Ran 등 차세대 통신망을 위한 준비 관련 뉴스도 꾸준히 나오고 있음. 다만 언제 관련 기업들의 실적에 도움이 될 지는 여전히 미지수

보조금 퍼주더니 '날벼락'…"돈 내고 팝니다" 초유의 상황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1205?sid=101
: 미국서 전기 도매가가 마이너스까지 떨어지는 사례가 발생중이라는 기사. 꾸준히 늘어난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의 시간별 변동성 때문인데, 생산 전력량에 따른 보조금이 근본 원인. 정부가 수요/공급 관리에 나서야하고 무조건적인 전력 생산량 증가와 보조금 지급을 지양해야 하는 상황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8 Aug 2025 03:33:55 +0300
■ 삼양식품, 에스앤디_불닭소스 아마존 베스트 셀러 순위 반등 중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불닭소스 아마존 베스트셀러 순위 핫소스 부문 22위입니다. 전체 소스 중에선 69위입니다. 순위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다른 B2C 제품처럼 해당 카테고리 안에서 최상위 순위 기록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한국시간으로 매주 월요일 불닭소스의 아마존베스트셀러 순위 점검하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Original Carbonara Bundle, Korean Spicy Hot Chicken Flavor Sauce [5.57 fl oz (200g) x 2 pack] 순위 체크하고 있습니다. 25.08.18 기준 Hot Sauce 카테고리에선 22위, Sauces(전체) 카테고리에선 69위 기록합니다. 숫자를 기록하며 확인한 것은 오래되지 않았는데 과거엔 불닭소스 자체가 보이지 않았다가 이제서야 순위권에 모습이 보입니다. 수출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베스트셀러 순위 점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계속 트레킹 해보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74007017
Подробнее
14.53 k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16:38:33 +0300
■ 2Q25 실적 발표 후 K뷰티 섹터 급락에 대한 생각 정리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이번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높아진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달바글로벌과 실리콘투를 시작으로 코스맥스/한국콜마 등 ODM까지 K뷰티 전반에 걸쳐 엄청난 주가 급락이 나왔습니다. K뷰티 글로벌 확장에 대해 꾸준히 추적해 왔기에 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먼저 이번 급락에 대한 이유를 생각해보면 1) 달바글로벌에 대한 과도한 기대(스트릿 컨센), 2) 실적 발표 시즌 초반 엄청난 실적을 기록한 에이피알에 대비하여 기대만 못 했던 밸류체인들의 실적, 3) 하필 매우 부진했던 8월 초순 10일치 화장품 수출 데이터 정도로 요약이 가능해 보입니다.

먼저 1)에 대해서는 스트릿 컨센은 다른 투자자들이 어떻게 제어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점이 아쉽습니다. 달바글로벌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을 때 해당 주식만 주가가 빠진다면 고민이 덜할 수 있겠으나 관련 섹터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포트 운용의 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장 분위기가 과도할 경우 꼭 나의 종목이 아니더라도 실적 발표 시즌에 섹터에 대해 보수적인 스탠스를 취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2)에 대해서는 아쉬운 점은 맞지만 개별 기업들의 성장률을 보면 달리 보일 측면이 많습니다. 먼저 실리콘투는 매출 YoY +46%, QoQ +8%, OP는 YoY +34%, QoQ +9% 수준의 성장률입니다. 높아진 기대를 걷어낸다면 매우 우수한 성장이며 10배 초반의 멀티플까지 하락한 주가는 성장률을 감안하면 충분한 매력이 생긴 것도 사실입니다. 대표 ODM인 코스맥스는 매출 YoY +13%, QoQ +6%, OP는 YoY +30%, QoQ +18% 수준이며, 겔 마스크로 주목 받고 있으며 함께 급락한 ODM사 제닉은 매출 YoY +173%, QoQ +38%, OP는 YoY +500%, QoQ +42% 수준입니다.

이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면서도 하루 급락이 아닌 며칠에 걸친 하락은 시장의 움직임이 과한 수준 처럼 보입니다. 섹터 센티가 크게 꺾인 것도 맞지만 장기 투자가 가능한 투자자라면 하락한 멀티플을 감안하면 충분히 접근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숫자가 받쳐주면서 꾸준히 장기 성장이 가능한 섹터는 생각보다 많지 않기 때문에 투자 센티가 돌아오는 것도 순식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3)에 대해서는 전년동기 및 전월동기 대비 영업일 수도 적었으며 휴가 시즌이 몰려 있었고 관세 부과로 인한 수요 당김까지 감안하면 크게 의미를 둘 필요가 없는 10일치 데이터로 보입니다. 해당 데이터를 통해 섹터에 대한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적절하지 않아 보이고 향후 수출 데이터가 개선될 경우 섹터에 대한 센티가 빠르게 돌아설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섹터에 대한 실적 기대감이 매우 커져 있었고 이를 에이피알을 제외하면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 자체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투자자라면 그 하락폭이 과한 지에 대한 판단이 분명 필요해 보이며 실제로 K뷰티의 확장이 끝난 것 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판단이 매우 중요한 시기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판단으로는 꾸준히 언급한 바와 같이 크게 보면 K뷰티의 글로벌 확장, 뜯어보면 유럽/중동 등 새로운 지역으로의 확장과 북미 내 오프라인 채널 확장 방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입니다. 실제로 K뷰티는 틱톡/구글 등 각종 트렌드 데이터가 여전히 역사적 최고치를 경신중이며, 특히 케데헌 열풍 이후로는 그 상승 각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여전히 K컬쳐의 확산을 기반으로 한 K뷰티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꾸준히 올라오는 과정에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성장률과 멀티플을 감안하면 이번 실적이 다소 아쉽더라도 충분히 접근 가능한 종목이 섹터 내에 많이 생겼다는 판단입니다. 단기적으로 과한 시장의 움직임을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꾸준히 추적하도록 하겠습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14:07:0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12:22:2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11:05:2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4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3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32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2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1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3:0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5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4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3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2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2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16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1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2:04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1:5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9:41:52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6:31:3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6:31:1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7 Aug 2025 06:30:23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15 Aug 2025 14:01:04 +0300
데이터 수정합니다. 에스앤디 2Q25 가동률 111.2% 입니다.

1) 생산실적 : 6,280 톤 (반기보고서 반기 생산실적 10,847 톤 - 1Q25 생산실적 4,567 톤)
2) 생산능력 : 5,648 톤 (반기보고서 반기 생산능력 ÷2)
3) 2Q25 가동률 : 6,280톤 / 5,648톤 = 111.2%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15 Aug 2025 13:39:02 +0300
에스앤디 2Q25 가동률 96%에 기말재고 +949톤 증가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15 Aug 2025 13:38:16 +0300
■ 에스앤디_2Q25 매출액 YoY +32.3% 영업이익 +16.1% 성장, 컨센서스 하회로 NXT 변동성 커졌으나 계속 잘 하고 있다 판단

​- 에스앤디 2Q25 매출액 381억 원(YoY +32.3%), 일반기능식품소재(불닭소스원료) YoY +43% 고성장 계속

- 에스앤디 2Q25 영업이익 60억 원, GPM 22.2%, OPM 15.7% 기록하며 특이사항 없음

- 유크림가격 QoQ +1.9% 상승하였지만 안정화되었고 비용단 이슈 없음

- 원재료 및 부재료 매입액과 기말자산 늘어났지만 오히려 3Q25 성장 기대(재고자산 QoQ +949톤)

- 삼양식품 소스/조미소재 2Q25 YoY +46.4% 성장하긴 하였는데 불닭소스 수출액 디테일한 점검 계속 필요

- 에스앤디 12m fwd P/E 10.93x 비싸다 생각들지 않고 실적 추정치 몇 억 수준 하회 큰 의미 둬야 하나 싶음

- 에스앤디 잘 하고 있다 판단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에스앤디 2Q25 매출액 381억 원으로 YoY +32.3% 성장하였습니다. 영업이익 60억 원으로 YoY +16.1% 성장하였으며 OPM 15.7% 입니다. 그러나 컨센서스 하회하며 (매출액 -4.2%, 영업이익 -11.9%, OPM -1.4%p) NXT 변동성 키웁니다.

에스앤디 1Q25 이어 실적 발표일 고생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25.07월에는 삼양라운드스퀘어의(삼양식품 아님) 스프 원료 회사 지엔에프 인수 건으로 가격 변동성 키우기도 하였는데 2Q25 실적 발표일에도 변동성 커집니다. 시장의 관심이 많아지긴 많아졌습니다.

2Q25 에스앤디 실적 및 세부 데이터 특이사항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매출액 YoY +32.3% 성장하였는데 일반기능식품소재(불닭소스 원료) 만 보면 YoY +43% 성장하며 고성장 유지합니다. GPM 22.2%, OPM 15.7%으로 수익성 또한 문제없습니다. 비용 항목 보면 판관비 항목 특이사항 없고 원재료 및 부재료매입액 늘어나고 기말 재고도 늘어난 것 같은데 어차피 영업활동하는 거라 이슈거리 아닌 것 같습니다. ​

지난 1Q25 유크림가격 QoQ +12.5% 상승하여 신경 쓰였지만 2Q25 QoQ +1.89% 상승하는데 그쳤습니다. 에스앤디 주요제품 판가 인하 또한 없습니다.

에스앤디 2Q25 가동률 111.2% 입니다. 특히 기말재고 +949톤 늘어난 것 확인됩니다. 일반적인 제조업 회사이면 재고자산 쌓아놓는 게 영업활동 어려움 있어 그러는 것 아니냐 걱정할 텐데 불닭볶음면 서로 달라 아우성인 상황이라 오히려 3Q25 실적 기대하게 합니다. 실제 1Q24 재고 +624톤 늘었고 OPM 14.7%로 전 분기 대비 부진한 모습이었는데 2Q24 매출 볼륨과 OPM 크게 올랐습니다.

여기에 25.10월 2공장 증설 최종 마무리되면 CAPA 현재 기준 2배 됩니다. 삼양식품 밀양2공장도 가동률 올리는 모습인데 에스앤디도 Q 상승하는 모습 기대합니다. 물론 시운전 비용 및 감가상각비 발생 등에 대해선 인지하고 있어야겠습니다.

삼양식품 2Q25 소스/조미소재 매출액 190.7억 원으로 YoY +46.1% 상승합니다. 특히 수출 YoY +74.8% 성장하였고 이젠 수출 비중 70% 넘어갑니다. 불닭소스 성과 계속 우상향입니다.

다만 폭발적인 불닭소스 매출액 성장 잠시 쉬어가는 듯합니다. 25.07월 불닭소스 추정 수출액 235.7만 달러로 YoY +37.4% 성장합니다. 세 자릿수 Growth 보인 상반기와 다른 모습입니다. 불닭소스 검색어 데이터 좋고 고객사의 적극적인 마케팅 의지도 분명하게 확인됩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숫자이기 때문에 불닭소스 반짝 유행에 그칠 것인지에 대해선 계속 추적 관찰 필요합니다.

에스앤디 12m fwd P/E 10.93x 입니다. 고 멀티플 줄 수 있는 기업은 아닐 테지만 지금 가격 비싸다 생각 들지 않습니다. 이익추정치는 계속 우상향 되고 있습니다.

실적추정치 제시한 리서치 하우스는 유안타와 유진입니다. 유안타 상대적으로 추정치 수준 높습니다. 유진 기준으론 매출액만 컨센서스 상회합니다. 사이즈 작은 기업이라 애널리스트들의 디테일한 이익추정치 부재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컨센서스 수 억 수준 하회에 큰 의미를 둬야 하나 싶습니다.

정리하면 에스앤디 컨센서스 하회하였지만 실적 및 세부데이터 특이사항 없습니다. 오히려 재고자산 늘어난 부분(QoQ +949 톤)과 하반기 CAPA 2배 되는 상황 기대됩니다. 에스앤디 잘 하고 있다 판단되어 계속 살펴보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71680082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14 Aug 2025 14:22:45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14)
(https://m.blog.naver.com/s1kkw/223970768608)

그 어느 때보다 스팩타클(?) 했던 이번 실적 발표 시즌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3일 연휴는 모두 편안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9월 빅컷’ 등장에 뉴욕증시 일제히 랠리…S&P500·나스닥 이틀연속 사상최고치(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14198?sid=101
: 9월 빅컷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미국 증시는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중. 국내 자금도 미국 증시로 재차 이동이 많아진다는 보도도 있었음. 잠깐이었던 국장 우세 흐름이 지속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해 보임

[단독]'마스가 동맹' 李대통령·트럼프, 한화 필리조선소 찾는다(이데일리)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3978646642267320
: 오후에 나왔던 기사인데 현재는 삭제된 상태. 보도에서는 방문이 확정된 것으로 언급. 실제 필리조선소를 찾는다면 조선 섹터의 내터리브가 더욱 강력해질 수 있는 이슈임은 분명

中 1·2위 조선사 합병에 속도…韓美 '마스가' 염두 뒀나(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66183?sid=101
: 중국도 자신을 뺀 미국의 타국가와의 조선업 협력을 바라보며 조선사 몸집을 키우는 중. 미국의 중국 조선업 견제가 지속되고 있는데 얼마나 더 강한 강도로 규제가 들어갈 지도 중요

엔비디아 차세대 AI칩 ‘루빈’ 출시 지연 가능성…내년 공급 제한 전망(한국경제TV)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20020?sid=101
: AMD의 MI450과의 경쟁력에서 이기기 위한 재설계 때문이라는 보도도 있었는데 이는 엔비디아가 공식 부인함. 어찌되었든 루빈 출시가 일부 지연된다는 것은 맞는 이야기인 듯. 테크 섹터 입장에서는 아쉬운 소식

“中 관광객 1인당 5만원 쏜다”… 경남, 체류형 관광상품 본격 판매(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00354?sid=102
: 이렇게까지 하는 것이 맞나 싶긴 하지만 어쨌든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을 앞두고 각 지자체 단에서도 많은 준비를 하기 시작. 내용만 보면 충분히 유입 메리트는 있어 보임

“다시 중국이다” 엔터기업, 한한령 해제 기대감…中 사업 강화(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00221
: 관광 무비자 허용, 10월 APEC 시진핑 방한 가능성 등이 대두되면서 다시금 중국과의 관계 개선 기대감이 올라올 수 있는 국면. 우리 정부/기업 모두 이를 준비중. 다만 정치외교적 이슈는 언제든 변수가 있을 수 있음

트럼프, 민간 우주발사 규제 간소화 행정명령 서명…스페이스X 수혜 전망(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89761?sid=101
: 시장 관심에서 약간 멀어진 우주 섹터. 언제든 다시 관심을 받아도 이상하지 않은 섹터이기도 하기에 뉴스 플로우는 체크 필요. 일단 트럼프 정부에서는 우호적인 소식은 꾸준히 나올 수 있는 환경

테슬라, 뉴욕서 로보택시 도입 준비…美서비스 확대 '잰걸음'(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89340?sid=101
: 자율주행 섹터도 마찬가지. 결국은 이쪽도 테슬라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해야 기대감이 커질 수 있음

[단독] 알테오젠 "세계 1위 항암제 원료 韓서 직접 생산"(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70511?sid=105
: 전일 UBS 숏 리포트를 비롯하여 전환율, 로열티 수취율 등 여러 시나리오가 많지만 어쨌든 코스닥 1등이자 코스피 이전 상장을 준비 중인 바이오 섹터 대장주. 2Q 실적 발표 직후가 본격적인 바이오의 시간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꽤나 많아지고 있음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13 Aug 2025 12:19:3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13 Aug 2025 03:00:47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13 Aug 2025 02:52:36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2 Aug 2025 15:33:37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2 Aug 2025 12:35:17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2 Aug 2025 02:40:35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2 Aug 2025 02:37:22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ue, 12 Aug 2025 02:18:1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16:51:48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16:48:30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13:04:59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11)
(https://m.blog.naver.com/s1kkw/223966966257)

한정애 민주 정책위의장 “주식 양도세 50억 유지 의견 전달”(한겨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60511?sid=100
: 주말간 당정이 좀 더 숙고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었으나 진성준 다음으로 임명된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양도세 50억 유지 의견을 전달했다고 언급. 잘 풀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미·러 정상 휴전 논의에… 젤렌스키 "우크라 영토는 절대 못 넘긴다"(한국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80695?sid=104
: 시장 영향력이 큰 이슈는 아니지만, 러-우 전쟁은 생각보다 종전이 늦어질 수 있어 보임

미국인들 '김밥, 라면, 목욕탕' 검색하더니…난리 났다(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68885?sid=101
'7000명→60만명' 끝이 안보인다…난리 난 국립중앙박물관 [김소연의 엔터비즈](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68736
: 케데헌으로 인한 K컬쳐 확산 관련 소식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 K푸드와 K뷰티 전반에 걸쳐 검색량이 폭증하는 중. 국립중앙박물관 굿즈도 엄청나게 팔려나가는 상황. 일부 종목 실적 이슈로 K뷰티는 오늘 크게 조정을 겪었으나 엔터는 강한 모습. 단기 주가와 상관 없이 K컬쳐 글로벌 확산은 매우 강한 흐름이 분명

"이건 미쳤다 당장 가자"…중국인 韓 무비자 입국에 '서울행' 검색량 폭증(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19363?sid=104
: 중국에서는 단체 관광객 무비자 이슈로 우리나라 여행 관련 검색량이 폭증. K컬쳐 확산과 더불어 중국에서도 인바운드 추가 수요가 붙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고 있음

[단독]블랙핑크, 오는 11월 목표로 3년만 새 앨범 발매(마이데일리)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117/0003974892
: 엔터의 강한 흐름에는 블랙핑크의 새앨범 발매 소식도 한 몫. 발매 주기로 보면 성공할 수밖에 없을 것

불닭소스, 美 판다 익스프레스와 협업한 메뉴 출시(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99403?sid=101
: 케데헌 발 K컬쳐 확산 흐름에 올라탄 주인공 중 하나인 불닭은 소스 협업도 추가 발표

기업 중심으로 초혁신…'성장' 내세운 경제전략 나온다(SBS Biz)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56667
: 어떤 방식의 기업 중심 성장 전략을 정부가 내세울 지 주식시장에서도 관심 필요.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였기에 여러모로 정리가 덜 된 부분들이 이번에 확실히 정리가 되어 발표될 가능성이 높음

중국 수출 허가 대가로…"엔비디아, 매출 15% 미 정부에 내기로"(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58492
: AMD도 15%에 합의했다는 보도. 매출의 15%라면 엄청난 금액인데 자국 업체에게 관세(?)를 받아내는 특이한 행태. 수조원이 될 것인데 아직까지 받아낸 자금을 어디에 사용할 지는 정해지지 않았음

"트럼프 관세 최대 수혜자는 애플·삼성전자"-블룸버그(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085127?sid=101
: 미국 내 생산시설이 있고 추가로 구축중이라는 것이 아주 큰 강점으로 다가오고 있음. 여러 빅테크 업체들이 삼성전자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주변 환경이 모아지는 중

삼성 HBM3E 12단, 엔비디아 품질테스트 통과 임박(EBN)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73967
: 지겨운 이슈이지만 파운드리가 확연히 좋아지는 국면에서 HBM의 엔비디아 퀄 통과까지 이어진다면 양쪽으로 모두 좋아지는 그림. 반대로 보면 삼성전자와 지수만 버티고 다른 종목들은 힘들어질 수도 있는 국면을 주의해야

″ESS 새 성장 동력…2차전지, '새 효자' ESS에 미래 건다" [한양경제](경기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6/0000080864
: 전력난 및 AI데이터센터와 연계되어 미국 ESS에 대한 기대감이 빠르게 올라오고 있음. 특히 미국이 중국 배터리는 확실히 차단중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밸류체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수밖에 없음

[초점] 美 소비자들, 세액공제 종료 앞두고 막판 전기차 구매 열풍(글로벌이코노믹)
https://m.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8/2025080922303725349a1f309431_1#_PA
: 단기적으로는 전기차 수요도 올라올 수 있음. 다만 세액공제가 종료되면 다시금 전기차쪽 수요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ESS 노출도가 높은 곳을 선별할 필요 있음

빌 게이츠는 이미 20년 전에 찜했다…매년 22% ‘폭발 성장’ 친환경 에너지 SMR(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39136
두산에너빌리티, 美 뉴스케일 파워 계약 체결 임박(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89428
: 잠시 소강상태 처럼 보였던 원전 섹터에도 다시금 강한 뉴스 플로우들이 등장하고 있음. 어차피 당장 숫자로 투자하기는 어려운 섹터. 네러티브가 어디까지 강화될 수 있을 지, 그리고 그 네러티브가 미래에 넘버스로 얼마나 실현될 수 있을 지 계속 체크 필요

“북미로 만족 못해”…K-전력기기, 동남아 진출속도 이유는? [비즈360](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12011
: 북미 성장이 현재 숫자가 좋은 것의 주된 이유이지만 전 세계에 걸쳐 전력기기는 쇼티지를 겪고 있음. 여전히 추가 수요가 나타날 지역은 많아 보임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9:30:39 +0300
📌 실리콘투(시가총액: 3조 586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8.11 14:21:21 (현재가 : 50,000원, 0%)

매출액 : 2,653억(예상치 : 2,711억/ -2%)
영업익 : 522억(예상치 : 571억/ -9%)
순이익 : 356억(예상치 : 440억/ -19%)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2Q 2,653억/ 522억/ 356억/ -9%
2025.1Q 2,457억/ 477억/ 388억/ +23%
2024.4Q 1,736억/ 266억/ 320억/ -34%
2024.3Q 1,867억/ 426억/ 299억/ -5%
2024.2Q 1,814억/ 389억/ 333억/ +2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190037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5772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5:44:34 +0300
📌 지엔씨에너지(시가총액: 5,716억)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2025.08.11 11:01:48 (현재가 : 34,750원, 0%)

계약상대 : SK주식회사
계약내용 : 25년 울산 AI DC 구축사업_A동 발전기
공급지역 : 대한민국
계약금액 : 422억

계약시작 : 2025-08-09
계약종료 : 2027-10-31
계약기간 : 2년 2개월
매출대비 : 18.64%
기간감안 : 8.47%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1190025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1985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3:09:47 +0300
금일 15:00 실리콘투 2Q25 실적발표 화상회의있습니다. 화장품섹터 주요종목 실적발표 마무리됩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2:41:04 +0300
우리나라 스마트베타 중 모멘텀 성과 상대적으로 우수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2:24:53 +0300
역시나 이익추정치 움직임이 재미가 없습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Mon, 11 Aug 2025 02:24:45 +0300
미국 필수소비재 횡보 흐름 계속인데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6:28:34 +0300
■ 우산 X NNN Pick 일주일을 돌아보는 리포트 정리(8월 2주차)

- 리포트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3965903748

1. 전략: 지수가 하락할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하나 이재만)
2. 아모텍 - 탐방노트: 드디어 시작된 체질 변화, 기대되는 행보 (하나 권태우)
3. 피부미용/톡신/필러: 생채기 났다고 안 죽는다 (키움 신민수)
4. 화장품 Weekly: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뭐가 달랐을까? (메리츠 박종대)
5. 유통/레저: 無VISA, 누비자 (한화 이진협)
6. 자동차/부품: 자동차 관세 협상 셀온 대응전략 (대신 김귀연)
7. 조선 - 해외 업체들 왈: LNGc 발주, 없어진 게 아니라 눈치 싸움 중 (IBK 오지훈)
8. 전략 - 이그전: 미국 '고용지표'의 대규모 수정, 한국증시엔 어떤 의미인가? (KB 이은택)
9. 두산에너빌리티 - NDR 후기: 올해 수주는 확실히 다르다 (신한 최규헌)
10. 운송 - LCC: 수익성 증명이 필요하다 (하나 안도현)
11. 지누스 - 2Q25 Re: 관세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과정 (KB 김현겸)
12. ISC - NDR 후기: 본업 정상 궤도 재안착 (한국투자 박상헌)
13. 아이센스: 하반기 이륙 준비 끝 (미래에셋 김충현)
14. 롯데관광개발: 지치지도 않고 계속되는 실적 서프라이즈 (하나 이기훈)
15. 에코프로비엠: 실적 및 Valuation factor 회복 국면 (하나 김현수)
16. 건설기계: 건기 업황 개선 시그널과 HD현대 합병 이벤트 (키움 이한결)
17. 현대로템: 단연코3, 수출절벽 없다 (다올 최광식)
18. 레저: 인바운드 호황과 함께 하는 외인 카지노 (신한 지인해)
19. 토비스: 일회성 이익 없이 서프라이즈! (SK 권민규)
20.
엔터 - IBKS Monthly 7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의 낙수효과 (IBK 김유혁)
21. 실리콘투: 유럽은 오프라인 벤더가 반드시 필요한 시장 (삼성 이
가영)
22. 증권 - 7월 지표 점검: 차익실현, 세제개편안 속도 조절에 대한 우려 반영 (KB 강승건)
23
. 에이피알 - 2Q25 Re: K뷰티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는 중 (메리츠 박종대)
24. 산일전기: ESS 멀티플은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 (유안타 손현정)
25
. 에스엠: MD만 분기에 639억을 팔았다고? (유진 이현지)
26. 카카오: 실적은 터졌고, AI는 심었다 (한화 김소혜)
27. 파라다이스: 일본과 중국,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
KB 이선화)
28. 코미코 - 2Q25 Re: 미중 양방 수혜 (LS 차용호)
29. Tech: 반도체
품목 관세 발표 임박, 그리고 애플의 묘수 (삼성 이종욱)
30. 카페24 - 2Q25 Re: 눈
높이가 높을 뿐 (신한 김아람)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7:15 +0300
■ 다음 주 스케쥴 점검 (현지시각 기준)

Check Point 1) 실리콘투, 코스메카코리아(월) 등 화장품 섹터 실적 발표 계속

Check Point 2) 우리나라 2Q25 실적시즌 마무리


Check Point 3) 국정위원회 대국민보고회(수), 10대 핵심과제 등 발표

Check Point 4) 월요일 25.07월 1~10일 수출데이터 잠정치 발표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7:09 +0300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ervices 이익추정치 흐름 S&P500 압도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7:04 +0300
미국 M7, TSLA 제외 실적 추정치 흐름 좋음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59 +0300
미국은 정말 대형주 무지성 플레이가 최고이고 중소형주 유지성 플레이가 최악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52 +0300
2차전지 종목 많이 포진한 IT가전 섹터는 일단 기관수급 위주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45 +0300
삼성SDI 등 ESS 관련 종목 은근히 바닥에서 반응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40 +0300
투신, 사모펀드 그리고 연기금 모두 수급 순매도 추세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34 +0300
Dollar Index Futures 98.93
USD/KRW 1,388.8
U.S. 10Y 4.283

Crude Oil WTI Futures 63.9
GOLD Futures 3,491
Copper Futures 9,765
Bitcoin 118,268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26 +0300
Magnificent 7 Valuation

NVDA 34.6x
MSFT 32.8x
AAPL 28.9x
AMZN 30.5x
GOOGL 19.4x
META 26.2x
TSLA 158.5x

TSLA 제외 Multiple avg. 28.7x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21 +0300
S&P500 12m fwd P/E 22.6x
S&P500 12m fwd P/E 3yr Avg. 19.7x
S&P500 12m fwd P/E 5yr Avg. 20.1x
S&P500 12m fwd EPS 282.86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14 +0300
US Sector GICS Level 2 기준 성과 TOP 5

- Technology Hardware & Equipment 주간 +11.2% 크게 상승

1) Technology Hardware & Equipment
2) Automobiles & Components
3) Semiconductors & Semiconductor Equipment (2주 연속)
4) Consumer Staples Distribution & Retail (2주 연속)

5) Consumer Discretionary Distribution & Retail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08 +0300
US Sector GICS Level 1 기준 성과 TOP 3

- 미국 또한 S&P500과 나스닥 20ma 회복
- 중형가치 4주 연속 성과 부진

1) 자유소비재
2) IT
3) 필수소비재 (2주 연속)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6:01 +0300
외국인 순매수 TOP 5

- 시가총액 대비 비중 기준

1) 유틸리티 +0.26%, +1,107억 원
2) IT하드웨어 +0.23%, +1,416억 원
3) 기계 +0.16%, +2,686억 원
4) 디스플레이 +0.14%, +205억 원
5) 비철,목재등 +0.11%, +361억 원

- 절대금액 기준
1) 기계 +4,805억 원
2) IT하드웨어 +2,686억 원
3) 유틸리티 +1,416억 원
4) 반도체 +1,107억 원
5) 자동차 +1,043억 원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5:55 +0300
KOSPI 외국인 +0.48조 원
KOSPI 기관 -0.20조 원
코스닥 외국인 -29억 원
코스닥 기관 +0.24조 원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5:46 +0300
KOSPI 12m fwd P/E 10.66x
KOSPI 12m fwd P/E 3yr Avg. 10.22x
KOSPI 12m fwd P/E 5yr Avg. 10.66x
KOSPI 12m fwd 순이익 226.9조 원

코스닥 12m fwd P/E 21.5x
코스닥 12m fwd 순이익 10.01조 원


- KOSPI 이익추정치 상향되는 탄력이 다소 떨어진 것 같기도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5:41 +0300
South Korea Sector 성과 TOP 5

- 방산주 속한 상사,자본재 제외 모든 섹터 주간 수익률 (+)플러스
- 철강 2주 연속 성과 부진
- 다행히 KOSPI와 코스닥 20ma 회복

1) 미디어,교육
2) 유틸리기
3) IT가전
4) 호텔,레저서비스
5) 화장품,의류,완구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15:35:31 +0300
■ NNN Sector Weekly_우리나라 미디어,교육/유틸리티/IT가전/호텔,레저서비스/화장품,의류,완구, 미국 자유소비재/IT/필수소비재(2주 연속) 성과 우수

KOSPI : 3,210.01. +2.90%
코스닥 : 809.27. +4.72%
S&P500 : 6,389.45. +2.43%
나스닥 : 21,450.02. +3.87%

Fear & Greed Index 59 Greed
(Last week 50 Neutral)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65854307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7:36:34 +0300
오송 2공장·오창 3개 공장에 1000억 베팅 예고 … “유상증자 절대 없다”

권 회장은 생산력 강화에 1000억원 정도의 베팅을 염두하고 있다. 그는 “인구 고령화로 글로벌 수요확대를 대비하기 위해 오송 2공장 신설과 오창 3개 공장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며 “2027년 3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연간 생산능력은 현재의 2배인 1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본다”고 했다. 막대한 자금 투입 시 개인 투자자들의 손해를 우려하자 “유상증자는 절대 없고 자기자본과 산업은행 저리 대출을 이용할 것이다”고 답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298591i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7:36:00 +0300
■ 노바렉스_언론기사에 따르면 유상증자 없는 CAPA 증설 예정

- 오창 1~3공장 리모델링과 오송 2공장 신축 필요한 1,000억 원 자기자본과 산업은행 차입 활용
- 1Q25 기준 가동률 84.7%로 상승하였고 수출비중 34.6%로 올라옴
- 건기식 산업 유행에 민감하여 구조적인 성장 어렵다 생각하였는데 수출 통한 레벨-업 가능할지 궁금 ​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25.08.10.일요일 한경코리아마켓에 올라온 기사를 보면 노바렉스 유상증자 없이 CAPA 증설 예정이라 합니다. 약 한 달 전 권석형 노바렉스 회장님 모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여 CAPA 증설 이야기를 하셨는데 혹시 자본조달이 필요할까 의심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사에 따르면 필요한 자금 1,000억 원을 자기자본과 산업은행 차입으로 마련한다 인터뷰합니다. ​

노바렉스 1Q25 기준 가동률 84.7% 입니다. 보통 70~80% 가동률 보였습니다. 특히 20년과 21년 83% 정도 가동률 보였는데 25년 들어서 수 년 사이 가장 높은 가동률 보입니다. CAPA 계속 늘어난 상태에서 가동률 올라와 긍정적으로 보게 됩니다. 24년 기준 생산능력 7.18억 개입니다. 생산능력 산출 기준이 과거와 다를 수 있을 텐데 21년 오송 신공장 증설하는 등 CAPA는 분명하게 늘어왔습니다.

노바렉스 수출액 많이 늘었습니다. 내수부문 매출액 500억 중후반 수준 유지하는데 수출부문 매출액 200억 전후에서 1Q25 300억 원 넘깁니다. 이에 따라 수출 비중 늘어납니다. 1Q25 기준 수출비중 34.6%입니다. 혹시 이런 흐름 계속될지를 잘 점검해야겠습니다.

​ 수출데이터도 트레킹 가능한데 24.07월 우리나라 기타조제식료품 수출액 7,101만 달러로 YoY +18.7% 늘어났습니다 15일 확정치 데이터도 봐야 할 텐데 추세는 계속 살아있는 것 같습니다.

​ 경영진은 자신 있는지 CAPA 증설 이야기 꺼내고 있습니다. 노바렉스 현재 오창 1공장, 2공장, 3공장 그리고 오송공장 보유하고 있습니다. 오창 1~3공장은 리모델링하고 오송에는 새로 공장을 짓겠다고 합니다. 27.03월 준공이 목표이고 CAPA는 금액 기준 1조 원으로 현재의 2배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건기식 비즈니스가 유행에 너무 민감하여 구조적인 매출액 성장 어렵지 않을까 우려가 컸었습니다. 그런데 수출 볼륨 커지면서 이런 우려 해소하고 건기식 업체들 레벨-업할 수 있을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잘 추적해 봐야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65476144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5:32:11 +0300
■ SPY vs EWY (25.08.08)

SPY 주간 수익률 +2.49%
SPY 1M 수익률 +2.17%
EWY 주간 수익률 +4.03%
EWY 1M 수익률 +1.3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5:32:05 +0300
XLC(The Communication Services Select Sector SPDR® Fund) 보유종목

* 출처 : State Street Investment Management 홈페이지, ssga.com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5:31:57 +0300
■ 주간 Global ETF Flow (25.08.08)

- SPY(S&P500) AUM -1.72% (1M -0.50%)
- EWY(MSCI South Korea) AUM 0.00% (1M +5.31%)

* 단순 AUM FLOW / AUM 으로 비율 계산하기 때문에 AUM 가격 상승으로 인한 실제 FLOW 비율 달리 보일 수 있음

- 한국물 ETF 주간 단위 연속 자금 유입 멈춤
- 이번주 SPY와 QQQ 모두 자금 유출

- 미국 커뮤니케이션서비스 AUM 크게 증가하며 특이한 흐름 (+15.79%, 3.81bil)
- 미국 IT 같이 보면 연속적인 AUM 유입

- 미국채권 자금 흐름 방향은 계속 가늠할 수 없음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65384123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Sun, 10 Aug 2025 04:53:47 +0300
■ 주간 회사별 지분보고서 제출 상황 (25.08.08)
* 5% 이상 신규보고(증감률 순)

1) 매커스, 미리캐피탈매니지먼트엘엘씨, +4.05%
2) 인포바인, 미리캐피탈매니지먼트엘엘씨, +2.10%
3) 삼성E&A, 블랙록펀드어드바이저스, +0.12%
4) BNK금융지주, 더캐피탈그룹컴퍼니스인크, +0.05%

■ 종목 Check

- 브이아이피운용, 월덱스 지분 확보 계속 포함 중소형주 적극적인 매수 계속
- 리투오 판매하는 휴메딕스(생산은 엘앤씨바이오(직접판매도 같이하긴 함)) 추가 매수도 눈에 띔 (5.31% → 6.71%)

- 미리캐피탈, 스틱인베스트먼트와 가비아 매수 계속되는데 매크스와 인포바인도 5% 이상 신규 보고
- 우리나라 중소형주 플레이에 대해 국내 기관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자신감(?) 갖는 듯한 느낌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965359506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08 Aug 2025 11:16:21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08 Aug 2025 02:34:52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Fri, 08 Aug 2025 02:34:49 +03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16:01:56 +0300
■ K-Culture 관련 틱톡 트렌드 데이터 점검: <케데헌> 열풍 이후로 상승 각도 높이는 중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K-Culture 확산 관련하여 K뷰티 중심으로 틱톡 트렌드를 점검합니다. 오랜 시간 상승 추세였으나 <케이팝 데몬 헌터스> 글로벌 열풍 이후 상승 각도를 높이는 모습입니다.

먼저 케데헌에 거의 직접적으로 다뤄진 불닭은 눈에 띄게 상승 각도를 높였으며, K뷰티도 계속해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K팝 트렌드는 꾸준히 횡보하였는데 최근에 드디어 최고치를 경신하는 모습입니다.

K뷰티 인디 브랜드들의 트렌드 상승은 더욱 눈에 띕니다. 이제 인디 브랜드라 부르기도 이상한 메디큐브는 계단식으로 크게 상승 중이며 조선미녀, 스킨1004, 바이오던스, 아누아 등 최근에 잘 하고 있는 브랜드들도 상승 각도를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먼저 발표 중인 기업들의 실적도 매우 좋은 모습입니다. 에이피알은 기대치가 매우 높았음에도 그보다 뛰어난 실적을 발표했으며, 용기 업체 펌텍코리아도 영업 레버리지가 강하게 나오는 국면임을 입증하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모습은 분명 K-컬쳐의 강한 확산 속에서 전방위적인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K특산품들의 주가가 흔들릴 때 늘 트렌드 데이터를 보면 안심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제는 케데헌 열풍이 증명한 K컬쳐의 주류문화로서의 확산을 K특산품에 대한 기대감으로 확대해도 될만한 트렌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12:52:09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07)
(https://m.blog.naver.com/s1kkw/223962693213)

[단독] 민주당, 대주주 면세한도 제시없이 기재부 10억원만 폐기 가닥..'결정은 대통령이'(알파경제)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624295046540?from=naver
: 여당은 일단 10억원까지 하향은 안된다는 의견만 대통령실에 전달할 것으로 보임. 50억 유지로 점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대통령의 결단만 남은 상황. 대통령이 어필했듯 시장을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다면 합리적인 결정을 해줘야할 것

대주주 기준 강화가 문제? 배당 분리과세가 더 큰 문제(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6083231
: 최근 대주주 양도세 문제가 크게 불거지면서 관심을 덜 받고 있으나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준도 정부안에서 크게 완화될 필요가 있음. 코스피 5000을 위해서는 이소영 의원이 발의해둔 법안이 최소한이라고 생각됨

[단독] 李대통령·트럼프, 8월 25일 한미정상회담 확정(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60448?sid=104
“트럼프-시진핑 APEC 참석 실무 의사소통 마무리 단계”(동아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52782?sid=100
: 대통령이 트럼프를 만나고 이후 APEC에서 트럼프와 시진핑이 만나준다면 우리나라에게는 매우 좋은 그림이 될 것. 특히 시진핑이 APEC 참석을 위해 방한한다면 한중 관계도 더욱 빠르게 풀려나갈 수 있음. 일부 섹터에는 강력한 모멘텀

테슬라 이어…삼성전자, 애플 차세대 칩 美 공장서 생산(국민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94424?sid=101
[단독] 테슬라, 슈퍼컴 '도조' 공급망 삼성·인텔 낙점(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85251
: 삼성 파운드리에 희소식이 쏟아지고 있음. 테슬라 AI6 대형 수주가 혈을 뚫어준 것일 수 있는데, 애플도 관세 문제 및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에서 차세대 칩 생산 예정. 테슬라도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삼성에게 Dojo칩까지 맡길 수 있다는 소식

애플, 미국 내 사업에 138조 추가투자…트럼프 "아이폰 美서 생산할것"(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408381?sid=104
: 애플도 결국 트럼프의 요구대로 미국 내 엄청난 규모의 추가 투자 발표. 기존 5,000억 달러에 1,000억 달러 추가 투자. 결국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국 내 투자만 답이 되고 있음

'반도체 관세 100%'에 韓·대만 "우린 아냐" 혼란…그럼 中 노렸나(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7339?sid=101
: 트럼프가 반도체에도 100% 품목 관세를 언급하면서 파장이 있었으나, 미국 내 생산 중이거나 생산 예정 기업들은 관세가 부가되지 않을 것이라고 추가 언급. 마찬가지로 결국 미국에서 만들어야 타국에서 생산한 것까지 관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

구윤철 "한미 FTA 효과 살아있어…관세율 0%에 상호관세 추가"(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51552?sid=101
: 그간 한미 FTA 체결국임에도 다른 국가들과 비슷한 15%의 상호 관세를 적용 받았기에 일부 비판적 시각이 있었는데 타국가들은 기존 관세에 상호 관세가 더해지는 것이며 우리나라는 상호관세만 부과받는 것이라고 공식 언급. 상대적 메리트는 여전히 있는 상황

'케데헌' 새 기록 또 썼다…실사·애니 통합 넷플릭스 역대 흥행 영화 4위(이데일리)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018/0006082676
'케데헌' 열풍에 한국의 매운맛 관심 폭발…K-소스 수출 역대 최대(MBN)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901069?sid=001
: 실사/애니메이션 영화 모두 포함하여 넷플릭스 역대 흥행 4위 기록중. 여전히 매우 핫하며 이로 인해 관련된 다른 K컬쳐 관련 수출 및 트래픽도 크게 반응하고 있음

美, 중국 조선소 '손절'하고 한국에 러브콜…50% 관세 파격 면제(글로벌이코노믹)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8070706485349fbbec65dfb_1/article.html
: 이미 중국 선박에 대한 패널티가 있는 와중에 이번에는 한국/일본 등 동맹국 조선소에 대한 혜택을 주는 법안 발의됨.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조선업 협력 이야기가 가장 강하게 나왔기 때문에 법안 차원에서도 지원이 나오는 중

[단독] '플라스틱 퇴출' 로드맵 재가동…정부, 국정과제 채택(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37255?sid=101
: 현 정부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탈플라스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음. 관련된 모멘텀도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10:12:35 +0300
2025.08.07 16:02:28
기업명: 카페24(시가총액: 1조 987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94억(예상치 : 799억/ -1%)
영업익 : 112억(예상치 : 113억/ -1%)
순이익 : 131억(예상치 : 89억+/ 47%)

**최근 실적 추이**
2025.2Q 794억/ 112억/ 131억
2025.1Q 712억/ 60억/ 53억
2024.4Q 833억/ 161억/ 111억
2024.3Q 765억/ 67억/ 49억
2024.2Q 758억/ 69억/ 6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0790035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00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10:12:05 +0300
2025.08.07 15:35:22
기업명: 파라다이스(시가총액: 1조 7,83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845억(예상치 : 2,858억/ 0%)
영업익 : 429억(예상치 : 369억/ +16%)
순이익 : 209억(예상치 : 229억/ -9%)

**최근 실적 추이**
2025.2Q 2,845억/ 429억/ 209억
2025.1Q 2,833억/ 573억/ 431억
2024.4Q 2,658억/ 194억/ 365억
2024.3Q 2,682억/ 362억/ 197억
2024.2Q 2,733억/ 320억/ 17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80780029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4230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04:47:41 +0300
댓글들을 보니 요즘 국장이 좋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기회는 많이 있어 보입니다.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Thu, 07 Aug 2025 03:24:18 +0300
우문현답 "국장서 돈 번 사람 없다고?…공부하면 달라" [한경 재테크쇼]

https://naver.me/xF2VVvmb
Подробнее
]]>
https://linkbaza.com/catalog/-1002322948689 Wed, 06 Aug 2025 11:27:23 +0300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 (08.06)
(https://m.blog.naver.com/s1kkw/223961300215)

美, '트럼프 공약' 상호관세 내일 본격 시행…세계무역질서 격변(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50859?sid=101
: 한국, 일본, EU 등 40개국에 15%, 26개국엔 15%가 넘는 높은 관세 적용 시작. 여러 협상이 마무리 되면서 시장이 안도하고는 있으나 어쨌든 전례 없이 높은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되기 시작하는 것은 사실

이번엔 250% 부른 트럼프 “의약품 관세 250%까지 올릴 것”(한겨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59763?sid=104
: 개별 국가들과 협상이 마무리 국면이지만 품목에 대해서는 여전히 트럼프가 마음대로 이야기하고 있음. 반도체도 다음주에 발표 예정

中 단체관광객 9월말부터 한시적 무비자 시행…내년 6월까지(서울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563889?sid=100
: 계속해서 뉴스가 나오고 있었는데 결국 무비자 시행이 확정된 것으로 보임. 얼마나 관련 데이터가 늘어날 수 있을 지 관심있기 추적해야할 국면

“우리랑 희토류 개발” 美·中, 개도국 선점 경쟁(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21411?sid=104
: 여전히 희토류 문제가 계속해서 불거지고 있음. 미국과 중국의 분쟁에 있어서 핵심은 결국 희토류 등 핵심 광물. 미국이 어떻게 중국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지가 장기전에서는 매우 중요해 보임

[단독] '100조 운용' 美헤지펀드, 韓증시에 4000억 투자(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17640?sid=101
: 글로벌 운용사들과 IB의 한국 시장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아진 상태. 여기서 정부가 조금만 더 세제개편 등에 시장 친화적인 조치를 꾸준히 내놓는다면 훨씬 더 많은 자금이 들어올 수 있는 여건

상반기 보건산업 137.9억달러 수출, 13.2%↑…의약품·화장품 최대(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3346?sid=103
: 보건산업 자체가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분야는 분명해 보임. 우리나라 최고 엘리트들은 대부분 의대를 졸업

"헤일리 비버도 반했다"…K마스크팩 '하이드로겔' 업고 매출 훨훨(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17759?sid=101
: 사용해보면 확실히 시트 마스크랑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아주 길게 보면 마스크팩의 표준이 바뀔 수도 있는 정도의 차이일 수 있어 관련 브랜드와 밸류체인에 꾸준한 관심 필요

[단독] 삼성전자, '엔비디아향 HBM4' 샘플 마지막 물량 생산 돌입(FETV)
https://www.fetv.co.kr/news/article.html?no=198403
: 점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향 HBM3E 12단, HBM4 퀄 테스트 마무리 시기가 다가오고 있음

LG CNS, 한국기업 최초 1000억 규모 AI데이터센터 수출(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87794?sid=105
: LG는 그룹 전반적으로 어필은 여전히 잘 안되고 있으나 AI 역량을 여러 방면에서 가지고 있음. 이에 대한 시장에서의 어필도 주주들을 위해 필요해 보임

美 ESS 시장 '지각변동'…韓 배터리 3%의 기적 시작됐다(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13179?sid=101
: 실제로 얼마나 숫자 반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지는 스터디가 필요하겠으나 ESS 모멘텀으로 인해 당장 배러티 섹터 투심은 크게 개선되고 있음
Подробне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