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담당 김철중 연구위원입니다.
산업 관련 데이터 공유 채널이며,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은 발간 완료된 보고서만을 통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이메일을 통해서 문의 부탁드립니다.
chuljoong.kim@miraeasset.com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24.08.2025.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담당 김철중 연구위원입니다.
산업 관련 데이터 공유 채널이며,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은 발간 완료된 보고서만을 통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이메일을 통해서 문의 부탁드립니다.
chuljoong.kim@miraeasset.com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8월 22일 금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정책) 미국, CHIPS법 자금 20억 달러 광물 확보에 활용 검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CHIPS법 자금 20억 달러를 반도체 원료 확보뿐 아니라 리튬·니켈 등 핵심 광물 공급망 강화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내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 전략 자율성을 높이려는 조치로 평가됨. 정책이 확정될 경우 IRA와 함께 광물 조달 다변화 정책이 가속화될 전망.
[8월 21일/Reuters]
https://han.gl/DzwUn
(수주) SK온, 조지아에 ESS용 LFP 라인 배정
SK온은 미국 조지아에 위치한 단독 공장 'SK 배터리 아메리카' 12개 라인 중 2개 라인을 ESS 배터리 제조용으로 배정한 것으로 파악. 이 라인에서 생산하게 될 제품은 LFP 파우치 배터리로, 동사에서 이번에 최초로 LFP 배터리와 ESS용 배터리를 양산하게 됨. SK온 관계자는 현재 미국에서 다수 고객과 공급 계획을 논의 중이라고 밝힘.
[8월 21일/Reuters]
https://han.gl/lN0RJ
(투자) CATL, 호주 3GWh급 배터리 프로젝트 공급 계약 체결
CATL이 필리핀 AC에너지와 호주 대규모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에 3GWh 규모 배터리 공급·통합 계약을 체결. CATL은 빅토리아주에서 두 개의 BESS 프로젝트에 공급할 예정이며, 모두 호주 국가전력시장(NEM)에 연결될 예정. 해당 프로젝트는 향후 수년간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CATL의 해외 매출 비중 확대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됨.
[8월 21일/Energy Storage News]
https://han.gl/RbpWX
■ EV
(출시) 테슬라 중국, 모델 Y 롱레인지 9월 첫 인도 예정
테슬라 차이나 부사장이 Model Y LR 버전이 오는 9월부터 고객 인도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확인. 동사의 공식 홈페이지에 RWD 및 AWD 모델은 예상 배송일이 1~3주로 표기된 반면, Model Y LR의 예상 배송일은 ’2025년 9월‘로 표기됨.
[8월 21일/Teslarati]
https://han.gl/l9XN7/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8월 21일 목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실적) SQM, 리튬 가격 상승에 따라 공급 계획 확대
SQM의 2Q25 핵심 수익은 전년 대비 약 28% 감소 기록. 동사는 3분기 실적이 2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며, 올해 연간 매출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함. 또한 리튬 판가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해외사업부의 탄산리튬 환산량을 약 2만 톤으로 상향 조정함.
[8월 20일/Mining]
https://han.gl/BstXg
(정책) 호주, 5억 호주달러 배터리 혁신 프로그램 발표
호주 정부가 배터리 제조와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5억 호주달러(약 3.3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를 발표. 이 프로그램은 현지 배터리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내 자국의 입지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함. 특히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과 상용화 지원에 초점이 맞춰짐.
[8월 20일/Energy Storage News]
https://han.gl/EcBiq
■ EV
(정책) 캘리포니아, 연방 EV 세액공제 종료 이후 보완책 검토
캘리포니아 주 정부가 연방 EV 세액공제가 만료될 경우 이를 대체할 주 차원의 인센티브 또는 세제 혜택 모델을 모색 중이라고 밝힘. 현지 전기차 보급률 하락 우려가 커지면서, 지속적인 전동화 유지를 위한 정책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음.
[8월 20일/InsideEVs]
(투자) 폭스바겐, 3,500만 달러 조달해 저가형 EV 개발
폭스바겐이 3,000만 유로(약 3,500만 달러)를 확보해 소형 저가형 전기차 모델인 ID.1 개발을 추진. 해당 모델은 유럽 내 보급형 EV 시장 공략을 목표로 하며, 가격은 2만 유로(약 22,000달러)부터 판매될 예정. 동사는 또한 포르투갈 정부와 신형 엔트리급 전기차 생산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ID.1은 27년 중반에 생산될 예정이라고 밝힘.
[8월 20일/Electrek]
https://han.gl/QctFw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