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투자전략/퀀트 텔레그램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01.10.2025.
미래에셋증권 투자전략/퀀트 텔레그램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의거해 10/1부로 의약품에 100% 관세 부과를 발표. 현재 미국에서 의약품 제조 시설을 건설 중이거나 건설하기 시작한 기업 제품에 대해서는 면제
-백악관에 의하면 트럼프 취임 후 대미 투자를 발표한 제약사들은 J&J, Roche, Bristol Myers Squibb, Eli Lilly, Novartis, Sanofi, Gilead Sciences, AbbVie, Merck, UCB, Thermo Fisher Scientific, Regeneron, Biogen, Hikma 등(투자금 순, 10억달러 이상)
-마찬가지로 10/1부터 주방·욕실 용품(cabinets, bathroom vanities)에는 50% 관세, 가구에는 30% 관세 부과. 대형 트럭에는 25% 관세 부과
-Section232조 조사 개시 날짜 기준으로 보면 반도체(4/1), 항공기(5/1) 품목이 다음 순서
-상호 관세 관련 변화는 줄었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섹터별 관세 범위를 늘리는 중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이미 8월에 400여개의 품목으로 확장. 여기에 더해 9/29까지 업계로부터 관세 범위에 추가하고 싶은 품목들을 집계 후 확장 결정 예정. 상무부는 매해 1월, 5월, 9월에 정기적으로 범위를 검토할 예정
-자동차 부품 관련해서는 10/1부터 업계의 의견 수렴 후 결정. 매해 1월, 4월, 5월, 10월에 동일 과정 진행
-9/2부터는 로봇/산업 기계, 의료 기기에 대한 Section 232 조사도 개시해 해당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검토하는 모습
팀 위클리 공유드립니다. 다음 주에 주목할 이슈와 연준인사 발언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Week Ahead(9/29~10/3)
https://han.gl/cDM1l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기술적 지표를 활용한 과매수/과매도 기업
1. 과매수/과매도 기업 리스트
(과매수 업종: RSI 70↑) 코스피, 코스닥, 상사,자본재, 소매(유통), 은행, IT하드웨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과매도 업종: RSI 30↓) 운송
(과매수 기업: RSI 70↑, B% 80↑) 솔브레인, 심텍, 이엔에프테크놀로지, 현대백화점, 유진테크, 해성디에스, 티씨케이, 삼성전자, 티에스이, 피에스케이, 피에스케이홀딩스, 원익QnC, 하나머티리얼즈, 한솔케미칼, 주성엔지니어링, 대덕전자, 티엘비, HPSP, 쎄트렉아이, LG디스플레이 등
(과매도 기업: RSI 25↓, B% 20↓) 크래프톤, 디어유, 세아베스틸지주, 휴젤, 현대글로비스 등
2. 52주 신고가/낙폭과대 기업 리스트
(한국 52주 신고가)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에스원, 솔브레인, 현대백화점, 대덕전자, 하나마이크론, 피에스케이, NHN KCP, 아이스크림미디어, 한미글로벌, 엠플러스, 우리금융지주, 원익머트리얼즈, 이엔에프테크놀로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니셈, 심텍, SK하이닉스, 더존비즈온, 케이씨텍, 두산테스나 등
(한국 낙폭과대) DI동일 등
자세한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퀀트 Daily (2025/9/26, 금요일)
https://han.gl/oQC2R (과매수/과매도)
https://han.gl/Ifzfu (신고가/낙폭과대)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한국 ETF Fund Flow(9/25)∥미래에셋증권 윤재홍
https://t.me/qooowooo/3130
- 일간 전체 +5,903억 원 유입되며 유입은 지속했으나, 국내 주식에서는 유출(-807억 원)
- 반도체, 화장품, 금리물 등 자금 유입 지속. 2일 연속 유입 이어가던 대형주는 유출 전환
- 중소형주 간만에 유입 전환했으나 일시적일 가능성. 초대형/대형/초소형 대비 중소형의 수익률/자금 부진은 미국에도 공통적으로 발생 중
1.지속
[유입] 조선해운, 친환경, 커버드콜 vs [유출] 필수소비재, 에너지화학
2.변화
[유출 → 유입] 반도체, 반도체(글로벌) vs [유입 → 유출] 테마, 방위(글로벌)
(*: 업데이트)
*직전 대비 △:유입, ▲:유입 강화, ▽:유출, ▼:유출 강화, [최근 5주ㅣ5일 누적ㅣ일간]
1.반도체(1일: +483억 원, ▽△▽▼▽l△l△)
*- 한국 반도체, 3일 연속 순유입 지속. 한국 내 글로벌 반도체도 일간 순유입
- 미국, 한국 공히 반도체 강세 지속. 미국 내에서도 메모리 수요 증가/가격 상승 전망 언급.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납품 관련 내용도 긍정적으로 작용
- 9/23 미국 마이크론(MU US) 전망치 상회하는 실적 발표. D램 매출도 전망치 상회
2.중소형주(1일: +812억 원, ▼▼△▽△l▽l△)
*- 코스닥 150 등 중소형주 카테고리에 간만에 자금 유입. 5일 합산 기준으로는 여전히 유출. 최근 10주 동안 8주가 유출 보였으며 -7,060억 원 규모
*- 초대형/대형/초소형 대비 중소형의 수익률/자금 부진은 미국에도 공통적으로 발생 중
3.커버드콜(1일: +37억 원, △▲△▲△l▲l△)
*- 국내 커버드콜 자금 유입 지속. 지수 고점 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상대적으로 유리한 세금에 기인
*- 금리물과 함께 안정 성향 추구 자금 유입 경향을 반영 중
전체(1일/5일): +5,903억 원/+3조 249억 원
한국 주식(1일/5일): -807억 원/+6,640억 원
# 일간(한국 주식)
1) 유입 상위
중소형주(1일: +812억 원, ▼▼△▽△l▽l△)
반도체(1일: +483억 원, ▽△▽▼▽l△l△)
전략(1일: +141억 원, ▼△▽▼▼l△l△)
화장품(1일: +116억 원, △▽△▲▲l△l△)
의료기기(1일: +70억 원, -△▲▲▽l△l▲)
2) 유출 상위
대형주(1일: -2,187억 원, △△▲▽△l▲l▽)
일반배당(1일: -155억 원, △▲▽△▽l▽l▽)
테마(1일: -102억 원, △▽△▽△l▽l▼)
조선해운(1일: -62억 원, △▽△▲▲l△l▽)
헬스케어(1일: -40억 원, △▽▽▽△l△l▽)
# 5일 합산(한국 주식)
1) 유입 상위
대형주(5일: +3,366억 원, △△▲▽△l▲l▽)
반도체(5일: +1,739억 원, ▽△▽▼▽l△l△)
조선해운(5일: +991억 원, △▽△▲▲l△l▽)
전략(5일: +811억 원, ▼△▽▼▼l△l△)
친환경(5일: +630억 원, △▲△△△l▲l△)
2) 유출 상위
중소형주(5일: -1,139억 원, ▼▼△▽△l▽l△)
일반배당(5일: -789억 원, △▲▽△▽l▽l▽)
정보기술(5일: -426억 원, ▼△▽▼▽l▼l▽)
개별종목(5일: -168억 원, ▽△▲▲▽l▼l△)
배당성장(5일: -48억 원, ▽△▲▽△l▽l△)
# 5일 합산(전체)
1) 유입 상위
멀티에셋(5일: +9,603억 원, ▲▲△▲△l▲l△)
미국 대형 성장주(5일: +4,934억 원, ▲▲△▽△l▲l△)
테마/해외(5일: +3,885억 원, △▲▲△▲l▲l△)
대형주(5일: +3,366억 원, △△▲▽△l▲l▽)
미국 대형주(5일: +2,018억 원, ▲▲△▽△l▲l△)
2) 유출 상위
중소형주(5일: -1,139억 원, ▼▼△▽△l▽l△)
일반배당(5일: -789억 원, △▲▽△▽l▽l▽)
정보기술(5일: -426억 원, ▼△▽▼▽l▼l▽)
한국 혼합채(5일: -385억 원, ▽△△▽△l▽l▽)
한국 회사채(5일: -379억 원, ▲▽▼△△l▽l▽)
# 개별 ETF 일간: [카테고리] ETF명(티커, 1일)
1) 유입 상위
[멀티에셋]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459580, +1,546억 원)
[멀티에셋]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423160, +884억 원)
[멀티에셋] KODEX 머니마켓액티브(488770, +867억 원)
2) 유출 상위
[대형주] KODEX 레버리지(122630, -2,811억 원)
[멀티에셋] 1Q 머니마켓액티브(479080, -1,117억 원)
[멀티에셋] RISE 머니마켓액티브(455890, -248억 원)
[참조] 트렌드 식별
- 최근 트렌드 식별: 주간 유입/유출/0 여부를 기준으로 1) 직전 8주 5회 이상, 최근 3주 2회 이상 동일한 방향이 나타나고, 2) 각 구간별 총 합계의 방향도 동일한 경우 트렌드로 식별
- 최근 5일 합산 금액의 유입/유출/0 여부를 기준으로 '최근 트렌드'와 비교. 일치할 경우 '지속', 일치하지 않을 경우 '변화'로 식별
KOSPI: 13.96조원 / 0.50% (1주일 전 0.50%, 1개월 전 0.52%)
KOSDAQ: 9.21조원 / 2.03% (1주일 전 2.02%, 1개월 전 2.03%)
(공매도잔고비율, 9/22 기준)
KOSPI200: 10.85조원 / 0.43% (1주일 전 0.44%, 1개월 전 0.42%)
KOSDAQ150: 3.58조원 / 1.51% (1주일 전 1.46%, 1개월 전 1.53%)
(신용잔고비율 ↑) NHN KCP, 에이프릴바이오, 고영, 켐트로닉스, 브이티, 오리엔탈정공, 바이넥스, 쏠리드, 시노펙스, 코스모신소재
(신용잔고비율 상승폭 ↑) NHN KCP, 더존비즈온, 하나머티리얼즈, 에스티아이, 켐트로닉스, 해성디에스, 비에이치아이, 피에스케이, 심텍, SAMG엔터
(공매도잔고비율 ↑) 카카오페이, 엘앤에프, 브이티, 한미반도체, 에코프로비엠, 대주전자재료, LG생활건강, 솔루엠, 코스모신소재, 주성엔지니어링
(공매도잔고비율 상승폭 ↑) 주성엔지니어링, NHN KCP, 코스맥스, 엘앤에프, 브이티, HPSP, 고영, 심텍, 파크시스템스, 카카오페이
자세한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퀀트 Daily (2025/9/25, 목요일)
https://han.gl/SQWcN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