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리서치 Tech팀 방입니다.
황민성 (반도체)
이종욱 (핸드셋/장비소재)
문준호 (글로벌)
류형근 (스몰캡)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02.10.2025.
삼성증권 리서치 Tech팀 방입니다.
황민성 (반도체)
이종욱 (핸드셋/장비소재)
문준호 (글로벌)
류형근 (스몰캡)
- 실적과 가이던스는 모두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HBM과 범용의 동반 강세, 낸드 턴어라운드, 고부가 제품 믹스 개선, 1γ(1-gamma) 원가절감이 모두 반영되었습니다.
- 범용 메모리는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HBM의 코멘트는 예상 수준인 반면 서버디램, 모바일디램, eSSD를 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범용 메모리는 응용처별 연쇄적인 공급 부족을 불러 일으키기 쉽습니다.
- 여전히 11Gbps의 비중은 작은 것으로 추정되긴 하지만, 11Gbps 샘플 납품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며 최근의 논란을 잠재웠습니다.
자료에 Q&A를 같이 정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bit.ly/47Twhm3
(2025/09/24 공표자료)
- 매출액 113.2억 달러
: +46% y-y, +22% q-q
: 컨센서스 112.2억 달러 상회
- DRAM 매출액 89.8억 달러
: +69% y-y, +27% q-q
: Bit growth +10%대 초반 q-q
: ASP +두자릿수 초반% q-q
- NAND 매출액 22.5억 달러
: -5% y-y, +5% q-q
: Bit growth -한자릿수 중반% q-q
: ASP +한자릿수 후반% q-q
- Non-GAAP 매출총이익률 45.7%
: 컨센서스 43.8% 상회
- Non-GAAP EPS 3.03 달러
: +157% y-y, +59% q-q
: 컨센서스 2.86 달러 상회
■ FY 1Q26 가이던스
- 매출액 125억 달러 ±3억 달러
: +44% y-y, +10% q-q
: 컨센서스 119.1억 달러 상회
- Non-GAAP 매출총이익률 51.5% ±1.0%
: 컨센서스 45.2% 상회
- Non-GAAP EPS 3.75 달러 ±0.15 달러
: +109% y-y, +24% q-q
: 컨센서스 3.10 달러 상회
감사합니다.
최근 메모리 주가 상승은 커머디티 가격 상승 때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메모리 가격 상승 랠리를 이제 시작 단계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 뿐 아니라 아시아 Tech 주식에 대한 강력한 FOMO 현상도 목격하고 있습니다.
차분하게 언제까지 오르고, 어떤 이벤트가 분기점일지 생각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왜 오르는가
여전히 수요보다는 공급 때문입니다.
보수적 수요 가정에 공급이 맞춰져 있다보니 약간의 수요 증가 만으로도 가격이 크게 반응합니다.
작년 서버향 커머디티 수요를 기대했다가 컨수머 수요가 안좋아 디램가격이 하락했던 안 좋은 기억도 있습니다.
기술 문제로 인한 수율 저하와 공급 차질도 다반사입니다.
이번에는 약간의 수요 증가가 일반 서버에서 발생했습니다.
2. 왜 지금인가
클라우드 투자 상향과, 추론 캐파 확보로 3Q이후 범용 메모리 수요의 tipping point를 넘었다고 생각합니다.
덕분에 메모리 업체들은 재고와 수요 모두에서 4Q 가격 협상 우위가 생겼습니다.
HDD 가격 상향과 삼성 QLC 차질로 낸드 가격 상승으로까지 확산된 것은 투자자들에게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3. 언제까지 오르는가
우리는 내년 상반기까지의 메모리 가격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직접적으로는 메모리 공급사가 범용 메모리 신규 증설을 결정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오를 수 있습니다.
커머디티 랠리의 종료 조건은 신규증설, 공급 업체들의 기술확보, 금리 하락의 종료 또는 인상 이렇게 세 가지라 봅니다.
4. 이익 변화
삼성전자 26년 OP 46조원, 목표P/B 1.4배, TP 9.3만원
SK하이닉스 26년 OP 51조원, 목표P/B 2.1배, TP 43만원으로 제시합니다.
중요한 것은 1) HBM과 달리 모든 메모리 기업들이 호재이기 때문에 키맞추기도 작동할 것이라는 점과
2) 현 시점의 이익과 목표주가는 상향 트렌드의 과정이며, 더 중요한 것은 메모리 capex 방향 전환의 신호라는 점입니다.
자세한 것은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bit.ly/3W24lFj
(2025/09/23 공표자료)
: 차세대 AI 인프라 구축 목표로 최소 10GW 규모의 엔비디아 시스템 배치. 관련한 양해각서(LOI) 체결
: 인프라는 차세대 모델 학습 및 실행 활용. 슈퍼인텔리전스 배포를 향한 기반
: 엔비디아는 신규 시스템 배치 시 마다 최대 1,000억 달러를 점진적으로 오픈AI에게 투자 예정
: 첫 번째 단계는 26년 하반기 엔비디아 Vera Rubin 플랫폼을 통해 가동 예정
: 오픈AI는 엔비디아를 전략적 컴퓨팅 및 네트워킹 파트너로 지정
: 오픈AI의 모델 및 인프라 소프트웨어와 엔비디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공동 최적화하기 위한 로드맵 조욜
: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파트너 등과 진행 중인 협력을 보완
: 향 후 몇 주 내 전략적 파트너십 세부 사항 최종 확정 예정
https://openai.com/index/openai-nvidia-systems-partnership/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