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리포트 요약, 각종 행사에 공식 알림방입니다!
모든 컨텐츠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한 것으로 채워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격려 부탁드립니다^^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21.08.2025.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리포트 요약, 각종 행사에 공식 알림방입니다!
모든 컨텐츠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한 것으로 채워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격려 부탁드립니다^^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디아이(003160.KS): 2Q 호실적·HBM4 장비 안정성 확인, 시나리오 유효 ★
원문링크: https://bit.ly/3URPdKl
1. 2Q25 Review: 자회사 호조로 2분기 성장 견인
-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액 1,193억원(+8.4% QoQ, +158.5% YoY), 영업이익 122억원(+23.4% QoQ, +1,198.3% YoY)을 기록
- 본사 반도체 장비 부문은 385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자회사 디지털프론티어가 770억원(40대 이상 장비 출하)을 시현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
- 전자부품(31억원)과 2차전지(38억원)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유지
- 하반기 초 본사 장비 공급이 원활히 진행됨에 따라 3분기 본사 반도체 매출액은 견조할 것으로 예상
- 다만 자회사의 경우, 3분기 예정 물량 일부가 4분기로 이연될 가능성이 있어 하반기 자회사 매출은 분기별 변동성이 불가피할 전망
2. HBM4 장비 본체 이상 無, 평가 재개 예정
- 디지털프론티어는 HBM4 웨이퍼 테스터의 고객사 평가 과정 중 프로브카드에서 번트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
- 이로 인해 테스트가 일시적으로 지연됐다. 번트 현상(burnt phenomenon)은 번인 테스트 환경에서 부품·소자가 열·전류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아 내구 한계에 도달하며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
- 이러한 현상은 고신뢰성 검증 절차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초기 단계에서 잠재 결함을 조기에 식별해 제품 품질 향상에 기여
- 이번 이슈는 장비 본체가 아닌 교체형 부품에서 발생
- 현재 관련 부품의 수리가 진행 중이며, 이후 양산성 평가가 재개될 예정
- 평가는 통상 3~4개월 내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객사 설비 확장 일정에 맞춰 발주 논의가 연내 또는 내년 1분기 중 구체화될 가능성이 높음
3. HBM4 집중 전략, 2026년 실적 도약 준비
- 2025년 연결 기준 예상 실적은 매출액 4,138억원(+93.4% YoY), 영업이익 391억원(+1,170.3% YoY)으로, 일부 출하 시점 조정과 비용 반영, 자회사 장비 수주 계획 변화를 고려해 직전 전망치 대비 하향 조정
- 자회사 디지털프론티어는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인력을 확충하며 비용 부담이 확대
- HBM용 장비는 기존 웨이퍼 검사장비 대비 사양 차이가 크지 않아 공급가 인상 여력은 제한적이나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방어 중
- 또한, 주요 고객사가 차세대 HBM4 장비에 전략을 집중함에 따라 기존 장비 발주 시점이 조정된 것
- 향후 관전 포인트는 HBM4 장비의 고객사 인증 절차 완료 여부
- 인증을 통과할 경우, 검사 사양 고도화에 따른 평균판매단가(ASP) 상승과 제품 믹스 개선이 맞물리며 실적 성장에 우호적인 환경이 마련될 전망
- 이러한 흐름은 2026년 차세대 장비 수주 본격화로 이어져 전사 실적의 우상향 기조를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바이오에프디엔씨 (251120.KQ): PDRN·스킨부스터 중장기 성장 모멘텀 유효 ★
원문링크: https://bit.ly/4oAAd0L
1. 2Q25 Review: 주력 제품 호조 속 외형 성장 지속, 하반기 수주 흐름 점검
- 2분기 매출액 47억원(+8.3% QoQ, +19.1% YoY), 영업이익 18억원(+28.0% QoQ, +50.2% YoY)을 기록
- 주력 제품군인 스킨부스터(GFX)의 견조한 판매가 외형과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으며, 대형 거래처 프로젝트 물량 반영으로 매출이 전분기 대비 약 5억원 증가
- 다만 하반기 초에는 주요 고객사의 발주 일정 조정과 거래 조건 조율이 맞물리며 수주 흐름이 다소 완만
- 니들패치 사업부는 생산라인 인력 변경에 따른 조율이 진행 중이며, 가동 시점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전망
- 이러한 흐름은 단기 실적에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신규 고객사와의 접점 확대가 병행되고 있어 향후 회복 가능성에 주목
2. PDRN 기술 검증·대외 네트워크 확장·중장기 성장축 강화
- ① PDRN 효능 입증, 상용화 속도↑: 2분기 파일럿 테스트에서 식물성 PDRN이 동물성 대비 동등 이상의 재생·항염 효능을 입증하며 기술적 신뢰도를 확보
- PDRN은 글로벌 재생·항염 원료 시장에서 고부가 가치 소재로 평가되며, PR Newswire 및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PDRN 시장은 연평균 약 43% 성장(2024년~2031년)하고 있으며, 특히 스킨 부스터 영역에서는 약 14%의 CAGR(2024년~2030년)이 전망
- 동물성 대비 종교·윤리적 제약이 없고 원료 수급 안정성·원가 경쟁력 측면에서도 우위 보유
- 동사는 현재 8개 세포주의 수율 개선과 양산 프로토콜 정립이 진행 중이며, 상용화를 위한 기술적 완성도를 단계적으로 높이고 있음
- ② PDRN 시장 반응↑: 대외활동 측 면에서는 전시회 참가를 통해 PDRN을 선보이며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확보
- 아시아·유럽권 신규 파트너 발굴을 위해 전시·세미나·온라인 플랫폼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협업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글로벌 OEM·ODM사와의 샘플 테스트를 병행하는 등 사업 네트워크 확장에도 주력 중
- ③ 지보단과 함께 글로벌 무대 준비 중: 글로벌 1위 향료업체 지보단(스위스)과의 향료소재 공동개발은 단기 매출 반영까지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나, 글로벌 향료 시장 진출 교두보로서 전략적 의미가 있음
- 양사는 2022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의 우수기업연구소육성사업(ATC+) 신규 과제를 공동 수행 중이며, 식물세포 기반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성장인자와 항체의약품·향 소재 개발 및 글로벌 진출을 목표 하고 있음
- 해당 프로젝트는 2025년 말까지 이어질 예정으로, 중장기적인 기술·사업 시너지 창출이 기대
3. 단기 조정 속 중장기 성장 잠재력 유효
- 2025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172억원(+7.1% YoY), 영업이익 56억원(+15.6% YoY)으로 기존 추정치 대비 다소 하향 조정
- 단기적으로 일부 사업 일정과 수주 속도 조정이 반영된 결과
- 다만 스킨부스터는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연간 기준 안정적 매출 확대가 예상되며, 니들패치와 PDRN 등 신규 사업의 본격적인 매출 기여는 내년부터 확대될 가능성이 높음
- 시장 환경과 사업 진행 속도에 따른 단기 변동성은 존재하나,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생산 역량 확충이 맞물리며 중장기 성장 모멘텀은 유지될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진성티이씨(036890.KQ): 예상보다 더 호황, 밸류에이션 본격 확장 구간 ★
원문링크: https://bit.ly/4fDKSE6
1. 상승 사이클 예상보다 빠르게 시작, 밸류에이션 본격 확장 구간
- 진성티이씨는 건설 중장비 부품 제조 기업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유리한 시장 환경이 조성되면서 당초 예상했던 것 보다 빠르게 호황 국면을 맞이하고 있음
- 동사는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아 미국 내 인프라 투자에 수혜 강도가 높은데, 현재 1) 글로벌 빅테크들은 대규모 AI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확장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있는 상황이고, 2)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의 반도체 생산 시 무관세 혜택 부과 등 ‘리쇼어링 전략’을 추진하면서 제조 기업들의 미국 내 인프라 투자 확대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
- 이에 동사의 북미 매출 비중은 2024년 43.0% → 1Q25 66.4%로 크게 확대됐으며, 이러한 기조는 2Q25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
- 2Q25 실적은 매출액 1,185억원(+17.2%, YoY), 영업이익 118억원(+90.0%,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24년 말 고객사들의 재고 소진 이후 올해 초부터 수주가 늘어나고 있으며, 중장비 부품 업황 상승 사이클 초입에 진입한 상황
- 동사의 최대 고객사인 글로벌 중장비 제조 1위 기업 ‘캐터필러(매출 비중 약 60%)’의 수주 잔고는 2023~2024년 약 30억달러 → 2Q25 약 37억달러로 급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고성장 초입 구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캐터필러, 존디어, HD현대인프라코어 등 글로벌 중장비 기업들을 고객사로 둔 상황에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는 신고가 및 P/E 약 20배를 형성하고 있는데 반해, 동사의 2026년 예상 P/E 7배 수준으로 매우 저평가 국면이다.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부각될 시점으로 판단
2. CAPA 3천억원 규모의 태국 공장 가동 시작, 담보된 실적 성장
- 진성티이씨는 건설기계 업황 턴어라운드 시점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태국 신공장을 현재 증설 및 가동 중으로 2026년부터는 더욱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 주목할 부분은 그간 막혀있던 주가의 Band가 업황 개선 및 CAPA 증설로 역사적 실적 성장과 함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가능해졌다는 점
- 태국 신규 생산 공장은 총 4공장, 전체 CAPA 3천억원으로 신규 제품 생산 및 고객사 내 압도적으로 늘어나는 물량을 대응하기 위한 전초기지
- 기존 국내, 미국, 중국 CAPA 7천억원을 합산하면 총 CAPA는 1조원 규모
- 1) 중장비 하부 주행체 핵심 부품인 플로팅 실(Floating Seal)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1공장은 올해 7월부터 가동 중이며, 2) 롤러(Roller), 아이들러(Idler) 등을 생산하는 2공장은 올해 7월 준공 완료, 11월부터 가동 예정
- 3) 3공장은 신규 제품인 러버트랙(Rubber Track)을 생산할 예정이며, 올해 11월 캐터필러향 샘플 테스트를 예정 중
- 신규 제품인 러버트랙은 기존 캐터필러 고객사인 브릿지스톤의 사업 철수로 동사가 공급사로 선정됐으며, 캐터필러향 러버트랙을 공급 중인 국내 D사가 3년간 약 2.8천억원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한 점을 감안하면 동사 역시 본격 양산 시점부터 연간 약 900억원 이상의 관련 실적 발생을 기대해볼 수 있음
3. 2025년 매출액 4,534억원, 영업이익 390억원 전망
- 진성티이씨의 실적은 2025년 4,534억원(+16.1%, YoY), 영업이익 390억원(+59.7%, YoY), 2026년 매출액 5,440억원(+20%, YoY), 영업이익 479억원(+22.7%,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27년부터는 더욱 가파른 성장을 이어갈 것
- 1) 신규 제품 러버트랙의 실적이 본격 반영되고, 2) 글로벌 고객사 J사의 신규 중장비 출시 예정에 따라 관련 부품 테스트 완료
- 2026년 5월부터 순차적 출시 예정이며, 2027년은 관련 매출액이 1천억원 이상 발생할 것으로 추정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뉴파워프라즈마(144960.KQ): 별도 실적 고공행진, 연결 성장 모멘텀 강화 중 ★
원문링크: https://bit.ly/3HdA1Uu
1.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16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뉴파워프라즈마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9,16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
- 목표주가는 Fwd 12M EPS 679원에 Target PER 13.5배(글로벌 Peer 2사 Avg. PER에 35% 할인 적용)를 적용하여 산출
- 동사의 2025년 (K-IFRS 연결) 예상 매출액은 5,718억원(YoY+10.0%), 영업이익 410억원(YoY+25.8%, OPM 7.2%), (K-IFRS 별도) 매출액은 1,967억원(YoY+33.8%), 영업이익 376억원(YoY+35.3%, OPM 19.1%)으로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
- ① 반도체 RPS의 수요 증가와 신규 고객사 확대로 별도 본업의 가파른 성장, ② 자회사 엔피엠의 구조조정 마무리 국면, ③ 스페이스프로 및 도우인시스 성장 및 지분가치 등을 고려하면 현 주가는 12M Fwd EPS 기준 7.9배에 불과
2. 반도체/디스플레이 플라즈마 핵심 부품 기업
-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전공정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
- 주요 제품은 1) 박막, 증착, 식각 공정 후 챔버 내에 부산물을 제거하는 모듈인 RPS, 2) 플라즈마 발생에 필요한 고주파 전력 장치 RFS
- 동사는 M&A는 통해 우주방산 복합소재 기업인 스페이스프로와 UTG 제조업체 도우인시스 등을 주요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연결 기준 사업부문은 1) 클리닝, 2) RF시스템, 3) 방산, 4) UTG, 5) 기타로 구성
3. 선단 공정 비중 확대로 플라즈마 모듈 수요 증가
- 올해 동사의 별도 사업부문(클리닝, RF시스템, 유지보수)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
- ① 반도체 공정의 미세화와 선단 공정 비중 확대로 인해 플라즈마 수요 증가하고 있는 추세
- ② 특히 RPS 시장은 MKS, Advanced Energy, 뉴파워프라즈마 등 극 소수의 기업이 장악하고 있어 국내 1위, 글로벌 시장 점유율 2위인 동사의 수혜가 예상
- 또한 ③ RPS와 RFS의 제품 사용연수는 2~3년에 불과하며, 최근 전방 수요처의 교체시기 도래로 인해 추가 발주가 예상
- ④ 북미 고객사 신규 확보와 더불어 중국향 매출도 동시에 확대되고 있어 올해 동사의 별도 부문 예상 매출액은 1,967억원(YoY+33.8%), 영업이익 376억원(YoY+35.3%, OPM 19.1%), 해외 매출 비중은 70%에 이를 전망
4. 연결 자회사 실적개선 및 지분가치 매력 확대
- 스페이스프로는 방산 시장의 성장에 따른 복합소재 수요 증가로 인해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
- 또한 북미 지역의 글로벌 무인기 전문 업체 진입이 예상됨에 따라 해외 매출 비중 확대 및 마진 개선이 가파르게 나타날 전망
- 동사의 스페이스프로 장부가는 약 556억원이며, 방산 부문의 올해 예상 매출액은 2,470억원(YoY+10.9%) 달성이 예상
- 도우인시스는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내 삼성디스플레이 1차 협력사로서 UTG 분야에 핵심 역량을 보유
- 전방 폴더블 시장 성장 및 매출처 다각화가 진행 중이며, 동사가 보유한 지분 가치(장부가 약 681억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