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리포트 요약, 각종 행사에 공식 알림방입니다!
모든 컨텐츠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한 것으로 채워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격려 부탁드립니다^^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05.10.2025.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리포트 요약, 각종 행사에 공식 알림방입니다!
모든 컨텐츠는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한 것으로 채워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격려 부탁드립니다^^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UAV(무인기,드론) Overweight : 하늘 위의 블루칩 ★
원문링크: https://bit.ly/3Ic8P9j
1. 신무기의 탄생은 인류의 역사를 재편하는 변수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UAV는 『전쟁의 핵심 무기』로 부상하며 시장의 촉매 역할을 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전쟁 방식의 판도를 바꿔 나가고 있음
-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새로운 무기의 등장은 전쟁의 양상과 전술 및 전략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치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
- 즉, 신무기의 탄생은 인류의 역사 자체를 재편하는 변수로 작용할 것이고 이번 전쟁에서 UAV는 첨병 역할을 톡톡히 해냈음
- UAV는 군사용 외에도 산업 및 상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첨단기술 품목으로 급부상 중이며,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미래의 글로벌 안보와 경제 구조 재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2. UAV, 지능형 플랫폼으로 빠르게 진화
- UAV는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에서 처음으로 개발됐으나, 고도의 작전 임무를 수행하기엔 역할이 제한적
- 그러나 최근 1) AI 및 자율비행 기술, 2) 에너지 효율 및 추진체계 발전, 3) 센서 및 정밀 네비게이션, 4) 5G/6G, 위성통신 기술 고도화로 인해 지능형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민간 부문에서는 물류배송(사각지대 해소), 농업(스마트 농업), 도심항공모빌리티(UAM)로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며, 향후 UAV는 글로벌 방위 산업뿐만 아니라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있어 중요한 성장동력 및 혁신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예상
3. 각국은 독자적으로 무인기 공급망 구축에 혈안
- UAV 시장은 국가별로 1) 기술 초점, 2) 지정학적 전략, 3) 시장 포지셔닝, 4) 규제 환경에 따라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냄
- 그러나 AI 기반의 자율성과 탄력적인 공급망 확보 및 군사용-상업용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각국이 공통적으로 바라보는 방향성
- 전세계 UAV 시장은 우주항공, 방위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미국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 우수한 내구성과 정밀도 및 생태계 간의 상호 운용성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중국은 국가 주도형 대량생산 체제 형태를 나타냄
-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크게 확대해 나가는 추세
-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 안보와 공급망 위협을 명분으로 중국산 드론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가하고 있으며, 자국 내 드론 생산 확대 및 투자를 촉진하고 있어 기술 패권 전쟁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음
4. Top Picks 및 관심종목: 에이럭스, 제노코, 인텔리안테크, 엠씨넥스
- Top Picks 및 관심종목으로 에이럭스, 제노코, 인텔리안테크, 엠씨넥스, 센서뷰, 휴니드를 제시
- 해당 기업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인기 밸류체인 내 포지션을 구축할 것으로 전망
- 에이럭스는 동체 제조 및 부품 수직계열화의 강점이 있고 국내 방산업체와의 협력 및 수출 확대가 기대되며, 부품 단에서는 제노코, 인텔리안테크, 엠씨넥스가 1) MUM-T(한국형 유무인 복합체계), 2) 통신 안테나, 3) 광학 카메라 분야에 수혜가 예상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쎄트렉아이 (099320.KQ): 실적은 궤도 진입, 성장성은 이륙 준비 ★
원문링크: https://bit.ly/46e2BNZ
1. 위성시스템 개발 및 위성영상 서비스 전문기업
- 쎄트렉아이는 국내 대표 위성시스템 개발 및 위성영상 서비스 제공 기업
- 중소형 위성시스템과 위성 탑재체 및 부품을 제조하고, 영상처리 S/W를 통해 위성영상 판매 및 분석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1) SIIS, 2) SIA가 있음
- 특히 동사는 올해 초고해상도 위성(모델명: SpaceEye-T) 발사에 성공함에 따라 위성영상 서비스 시장 내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
- 주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약 34%, 박성동 8%, 기타 58%로 구성되어 있음
2. 자체 위성 SpaceEye-T, 유럽향 대규모 계약 체결
- 동사는 올해 3월 자체 기술로 개발한 초고해상도 상용 지구관측위성 SpaceEye-T (30cm급) 발사에 성공
- 자체 위성을 보유함으로써 위성영상 및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주산업 내에서도 시장규모가 가장 큰 다운스트림 분야로 진출했다는 점에 있어 상당한 의미가 있음
- 해당 분야 내에서 기존 Key Player인 Maxar Technology, Airbus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유럽의 모기업으로부터 수천만 유로에 해당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파악됨
- 구체적인 계약 규모는 NDA로 인해 확인이 어려우나, 글로벌 기업의 과거 계약 형태, 기간 등을 고려해 볼 때 상당히 큰 규모로 추정
- 이번 계약을 통해 SIIS는 연간 70억원 이상의 신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SIA와 시너지 효과도 충분히 기대됨
- 자회사 구조개편 또한 완료됨에 따라 판관비 레벨은 하향 안정화 추세로 매출 성장에 따른 수익성 회복은 하반기 더욱 뚜렷해질 전망
3. 사업비 3조원에 이르는 2차 425프로젝트 앞두고 있어
- 2024년 총 2,740억원에 이르는 ① 『1,013억원, 한화시스템 군수장비 및 IT서비스』 + ② 『1,727억원, 항우연 민간광학위성 2기』의 대규모 수주를 기록(수주 잔고 5,000억원을 넘어섰음)
- 탄탄한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2년치 물량은 안정적으로 확보했으며, 연말 수주잔고 레벨은 약 3,100억원으로 판단됨
- 또한 그동안 부재했던 우주항공 프로젝트 다수가 예정되어 있는 만큼 신규 수주는 재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주목해야 할 프로젝트로는 군 정찰위성 후속 사업인 2차 425프로젝트로 사업비는 1차 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한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
- 2차 사업에서는 소형 군집 위성 51기도 추가로 개발될 예정
- 이에 따라 위성 제조 역량과 레퍼런스를 보유한 국내 우주항공 업체 전반에 수혜로 작용할 전망이며, 수주 여부에 따라 Q와 P가 동시에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 종합해보면 올해 1) 유럽향 위성영상 서비스 수주에 따른 자회사 실적 개선, 2) 자회사 조직개편 완료로 고정비 절감, 3) 기수주 매출 인식 확대될 예정
- 이로 인해 동사의 2025년 예상 매출액은 1,952.6억원(YoY+14.0%), 영업이익 104.1억원(YoY+흑자전환%, OPM 5.3%), 2026년 예상 매출액은 2,245억원(YoY+15.0%)에 이를 것으로 판단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 녹십자웰빙 (234690.KQ): 글로벌 톡신 수출 시작, 연내 큰 거 한방 ★
원문링크: https://bit.ly/4m1MGrK
1. 전문 의약품 및 에스테틱 전문 기업
- 녹십자웰빙은 2004년 설립되었으며 전문 의약품, 에스테틱, 건강기능 식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
- 기존 건강기능 식품 기업 이미지가 강했던 동사는 글로벌 에스테틱 기업으로 빠르게 변모 중이며, 이를 실적으로 증명하는 중
- 매출액 비중을 살펴보면 건강기능 식품이 2020년 32.8% → 2Q25 9.7%로 대폭 축소된 반면, 전문 의약품 및 에스테틱 부문은 2020년 64.5% → 2Q25 88.5%로 가파르게 비중 확대 중
- 건강기능 식품 대비 높은 수익성을 가진 전문의약품 및 에스테틱 비중 확대로 OPM은 2020년 3.1% → 1Q25 14.4%로 대폭 개선
- 국내에서 M/S 약 77%의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태반 주사제 ‘라이넥’이 전문 의약품 부문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2024년 9월부터는 중국 의료특구 ‘하이난성’ 신속 수입 승인을 받으며 국내 기업 최초 및 유일하게 중국에 태반 주사제를 판매 중
- 동사를 지금부터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글로벌 수출 물량 확대와 에스테틱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 1) 태반 주사제 라이넥은 중국 NMPA 등록을 거쳐 2026년부터 중국 전역에 확대할 계획이며, 보툴리눔 톡신 이니보는 이미 태국과 페루는 승인 및 판매를 시작했고 브라질, 중국 등 글로벌 수출을 앞두고 있음
- 2) 글로벌 진출을 시작 중인 에스테틱 제품들의 비중 확대를 통해 급격한 성장 국면을 맞이한 상황에서 동사의 밸류에이션은 2025년 Peer 에스테틱 기업들(P/E 30배 이상) 대비 1/3 수준으로 매우 저평가 상태
- 본격적인 리레이팅 국면으로 판단
2. 조단위 ‘톡신’ 계약 수출 시작 → 2026년부터 고성장 전망
- 녹십자웰빙의 핵심 성장 동력인 보툴리눔 톡신의 수출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
- 동사가 올해 4월 인수한 이니바이오는 스웨덴의 CCUG에서 도입한 순도 100%의 톡신 균주 ‘이니보(Inibo)’로 품목 허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단일 공장 기준 연간 900만 Vial의 국내 최대 GMP 생산 CAPA를 보유
- 2024년 글로벌 주요 국가들과 약 8.8억달러(한화 약 1.2조원) 규모의 MOQ(최소주문수량, Minimum Order Quantity) 계약을 체결했으며, 각 국의 인허가 스케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시작
- 이미 수출은 가시화되는 중, 올해 6월부터 동남아 태국 시장 론칭을 시작했으며, 7월에는 중남미 페루 의약품 관리국(DIGEMID)으로부터 신규 품목 허가를 획득
- 주목할 포인트는 브라질 시장, 톡신 수출 MOQ 계약은 국가들마다 계약 규모 및 공급 기간 등이 상이한데, 이 중 브라질 계약 비중이 약 45%를 상회하는 것으로 파악
- 브라질에서만 약 5.8천억원 이상의 실적이 발생한다는 의미
- 브라질은 현재 국가 위생 감시국(Anvisa)로부터 GMP 인증을 획득한 상황이며, 연내 출시를 앞두고 있음
- 올해 최대 관전 포인트
3. 2025년 매출액 1,625억원, 영업이익 202억원 전망
- 녹십자웰빙의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625억원(+21.4%, YoY), 영업이익 202억원(+55.9%,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건강기능 식품 대비 고 수익성의 전문 의약품 및 에스테틱 부문 비중 확대로 OPM은 12.4%(+2.7%p, YoY)를 기록할 전망
- 태반 주사제 라이넥의 중국 본토 확대 및 보툴리눔 톡신 이니보의 글로벌 진출 가속화 단계에 따라 실적은 지속 고성장 할 것으로 예상
- 2026년은 매출액 2,000억원을 충분히 상회할 것으로 전망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