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20.11.2025.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20.11.2025.
이런 장 분위기 속에 관련 없는 말씀 드리기 정말 송구스럽습니다만,
지금 진행되고 있는 매경/한경 폴 관련하여 올 한 해 한국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와 분석이 도움 되셨다면 소중한 한 표 부탁을 드립니다.
저희에게는 큰 응원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문선 2차전지/철강,금속
채민숙 반도체
김정찬 통신/미디어
박상현 전기전자·스마트폰
정호윤 인터넷·소프트웨어
김명주 유통/생활소비재
최고운 운송
백두산 은행/증권
김창호 자동차·타이어
강경태 조선/건설
장남현 방산
위해주 제약·바이오
이충재 정유·화학
강은지 음식료·담배
윤철환 스몰캡
이동연 글로벌 기업분석
최지욱 거시경제·금리
김대준 투자 전략
염동찬 계량 분석
박기훈 데일리 시황
최보원 선진국 전략
정정영 신흥국 전략
안재균 채권
김기명 신용 분석
정현종 자산 배분
신채림 ETF
정다솜 ESG
금주 아시아(싱가폴, 홍콩) 마케팅으로 자리를 비웁니다. 긴급 연락은 황준태 연구원에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유진테크 3Q25 Review: 실망을 뒤로 하고
●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76.2% 하회
- 매출액 623.4억원(-40.6% QoQ, -19.5% YoY), 영업이익 51.8억원(-73.7% QoQ, -67.1% YoY)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각각 43%, 76.2% 하회
- 주요 고객사 라인 정비로 3분기 장비 반입이 지연돼 매출이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
- DRAM 위주의 장비 운영으로, 3분기 소폭 증가한 NAND 공정 전환 Capex 증가 수혜 부재
- 매출 감소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감소해 영업이익률은 전년동기대비 12%p 하락한 8.3% 기록
- 고객사 장비 평가로 인한 연구개발비 증가 및 미국 자회사 유지너스 적자도 영업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
● DRAM Capex 증가 수혜는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
- 삼성전자 공정 전환에 따른 장비 발주 증가, 4분기부터 매출 인식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
- 주요 고객사 모두 장비 반입 및 셋업을 앞당겨줄 것을 요청. 셋업 이후 매출이 인식되는 장비사 특성 상 고객사 요청으로 매출 인식이 빨라질 가능성 높음
- 25년 4분기부터 26년 1분기 및 이후까지 계단식으로 매출 증가 예상. 25년 4분기부터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및 마이크론 등 DRAM 3사 모두 투자가 증가하는 시기
- 2026년에도 Capex는 DRAM 위주로 증가해, DRAM 3사의 선단 공정용 장비를 공급하는 동사의 수혜가 가장 클 전망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8,000원 유지. 목표주가는 12MF EPS에 목표PER 26배 적용
본문: https://vo.la/Po1tjWZ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Nov 17 2025)
● Daily News Clipping
▶ 삼성, 국내에 5년간 450조원 '통 큰' 투자…P5도 착공 추진 (Zdnet) https://vo.la/1LVmULk >
▶ SK그룹 "2028년까지 128조 국내 투자...정부 비전 지원" (디일렉) https://vo.la/Rdnhy4S >
▶ ASML CEO, Nexperia 인수로 인한 네델란드와 중국 사이의 갈등이 ASML의 사업에 단기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을 것 (Reuters) https://vo.la/4KLDdZN >
▶ Nexperia, 중국과의 분쟁으로 인한 생산 차질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 공급망 솔루션을 지속해서 제공 중 (Reuters) https://vo.la/vMmWDFw >
▶ “HBM 다음은 HBF 메모리”… 낸드 플래시도 ‘수직 쌓기’ 경쟁 (동아일보) https://vo.la/JP93jOq >
▶ 동진쎄미켐, “신설법인 상장 계획 없다” 쪼개기 상장 우려 불식 (Techworld) https://vo.la/JBSEpAd >
▶ SK스퀘어, 3Q 영업익 역대 최대...하이닉스 효과 (Bloter) https://vo.la/8VDFkYn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한투증권 이동연] (In-depth) 글로벌 AI: OpenAI와 친구들
● 글로벌 AI in-depth 자료를 작성했습니다.
● 25년 하반기부터 AI 투자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고, 그 중심에는 OpenAI가 있습니다.
● 이번 보고서에서는 OpenAI의 실적을 추정했습니다. OpenAI의 2030년 매출액은 2,212억달러(25~30년 CAGR 76%), AI S/W 시장 내 점유율은 17%로 예상합니다. 흑자전환 시점은 2030년으로 예상돼, 이때부터 컴퓨팅 비용의 상당 부분을 자체 해결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 최근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AI 버블이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합니다. 25년 AI 강세장을 이끈 대표주의 지표 모두 닷컴버블 시점 대비 견조하고, 아직까지는 주가 상승이 현금흐름, 클라우드 매출 성장률, 수익성 방어와 함께 나타나고 있습니다. 3Q25 실적 발표 후 하이퍼스케일러의 26년, 27년 Capex 추정치도 상향 조정됐습니다.
● 하이퍼스케일러의 가상서버와 다른 베어메탈 서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오라클의 클라우드 부문 가이던스도 견조합니다. AI 추론 시대에 주목받는 베어메탈 기반 서버 수요가 강함을 의미합니다.
● 결론적으로 아직 버블이 도래하지 않은 가운데 OpenAI와 빅테크 4사는 AI 인프라 구축 속도를 높이고 있고, 이는 우리가 OpenAI 진영과 알파벳 등의 반대 진영 대표주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야 하는 이유입니다.
● OpenAI의 파트너로서 성장과 수익성 방어가 동시에 기대되는 기업, 그리고 알파벳과 같이 비OpenAI 진영 기업이지만 자체 AI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역량을 모두 개선시키고 있는 기업에 대한 비중확대가 필요합니다. 최선호주는 알파벳, 브로드컴, 엔비디아로 제시합니다.
------------------------------------
목차
1. OpenAI를 중심으로 인프라 수요 확대
2. 버블 논란: 아직은 아니다
3. 오라클/네오클라우드: 베어메탈로 승부
4. 결론: OpenAI의 친구/라이벌 선별
*보고서: https://zrr.kr/XRpMNZ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Рост подписчиков
Публикации
Просмотры
Средний охват + ERR%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