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반도체 소부장 담당 류형근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16.08.2025.
삼성증권 반도체 소부장 담당 류형근
- 대형주의 경우, 삼성전자가 1주 전 대비 4.2% 상승, SK하이닉스가 0.6% 하락했습니다.
- 삼성전자의 경우, 애플향 CIS 신규 공급 및 파운드리 관세 불확실성 완화 (테일러 투자로 무관세 적용 예상) 등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SK하이닉스의 경우, 2026년 HBM 공급계약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주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했습니다.
■ Key Issue 1.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 정책
- 애플의 미국 투자 확대 발표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관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미국에 공장을 투자했거나 투자 예정인 기업"에 한하여 반도체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 언급했고, "미국 투자를 하지 않은 기업"에는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 한국과 대만 반도체의 경우,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모습입니다. 반도체 세부 품목 (비메모리반도체, 메모리반도체 등) 단으로 관세 부과의 대상이 세분화된다면, 메모리반도체는 아직 관세 영향권에서 100% 벗어났다고 보기 어렵겠지만, Bear Case로 봐도, 15% 이상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 아시아 중심으로 편중된 공급망 (Capa 및 생산의 95% 이상이 아시아에 편중), 정부 단의 관세 Risk 최소화 노력, 기업들의 선행투자 (삼성전자: 테일러 공장, SK하이닉스: 인디애나 후공정 공장) 등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 현재까지 발표된 트럼프 정부의 정책 Color로 보면, 일본 반도체가 최대 피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Renesas (차량용 반도체), Rapidus (파운드리), Kioxia (NAND) 등은 아직 미국 투자를 결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 Key Issue 2. 삼성파운드리, 애플향 CIS 신규 공급
- 애플향으로 CIS 신규 공급에 나설 것으로 전망합니다. 1Q26부터 Austin 공장에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초기 가동 규모는 월 10-15K 수준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 3단 Stack 구조 (Wafer to Wafer Bonding)인 만큼 공정 상의 복잡성을 감안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단가는 기존 제품 대비 높게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수익성 또한 견조한 제품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파운드리 이익 조기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 Key Issue 3. 삼성전자의 DRAM 구제품 증산
- 공급업계의 급격한 구제품 (DDR4, LPDDR4/4x 등) 단종 및 생산 축소로 구제품 가격 급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서버 (DDR4)와 모바일 (LPDDR4x) 고객 중심으로 수요 추가 대응 요청이 연이어 나타나고 있고, 일부 물량에 한해서 대응을 해줄 것으로 전망합니다.
- 다만, 삼성전자의 방향성이 바뀐 것은 아닙니다. 제품/공정 선단화를 위한 중국 반도체와의 격차 지속 노력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고, 구제품 양산에 활용되는 DRAM 1z 공정 비중은 지속 축소되는 모습입니다.
- 금번 증산이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며, 절대 물량 증가 폭 또한 연간 20억 Gb 이내로 한정적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구제품이 신제품 대비 비싸게 거래되는 이상 거래 환경을 지속 활용하여 범용 DRAM의 가격 인상 노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PDF | ➡️보고서원문| 📝요약/해설
- 금일 미국에 대한 1,000억 달러의 신규 투자를 발표
- 향후 4년간 미국 내 총 투자액을 6,000억 달러로 대폭 확대할 것
■ Apple American Manufacturing Program (AMP)
- Corning, Coherent, GlobalWafers America (GWA), Applied Materials, Texas Instruments (TI), Samsung, GlobalFoundries, Amkor, Broadcom 등이 포함
- Corning: 켄터키주에 세계 최대 스마트폰용 유리 생산라인 신설 예정. 향후 모든 iPhone 및 Apple Watch의 유리는 이곳에서 생산.
- Coherent: iPhone과 iPad의 Face ID 등 기능을 위한 VCSEL 레이저를 생산하는 텍사스 셔먼 시설과의 다년 계약 체결.
- MP Materials: 포트워스 인디펜던스 시설 확장 및 캘리포니아 마운틴패스에 희토류 재활용 라인 구축 예정.
■ 미국 내 실리콘 공급망 구축 확대
- 웨이퍼 생산: GlobalWafers America (텍사스 셔먼)와 협력하여 미국 내 최초로 300mm 웨이퍼를 생산. 이 웨이퍼는 TSMC(애리조나) 및 TI(셔먼) 등에서 칩으로 가공. 웨이퍼에 사용되는 실리콘은 Corning의 Hemlock Semiconductor 등 미국 공급처에서 조달.
- 장비 생산: Applied Materials (텍사스 오스틴)와 협력하여 첨단 반도체 제조 장비 생산 확대.
- 반도체 제조: TI의 유타 리하이 및 셔먼 신공장에 장비 추가 및 확장 투자. Apple 제품에 사용되는 주요 기초 반도체 생산.
- 신기술 도입: Samsung (오스틴)과 협력하여 전 세계 최초로 새로운 칩 제조 기술 상용화. iPhone에 적용될 성능 최적화 칩 생산 예정.
- 무선/전력 칩: GlobalFoundries와 협력하여 무선통신 및 전력관리 반도체 생산 확대.
- 패키징: Amkor의 애리조나 첨단 패키징 및 테스트 공장에 투자. Apple은 이 공장의 첫 번째 및 최대 고객. 인근 TSMC 공장에서 제조된 Apple 실리콘 칩의 패키징 담당.
- Broadcom 및 GlobalFoundries와 협력하여 5G 통신에 필요한 셀룰러 반도체 부품을 미국에서 개발 및 제조
기사 링크: https://www.apple.com/newsroom/2025/08/apple-increases-us-commitment-to-600-billion-usd-announces-ambitious-program/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6일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미국에서 공장을 짓기로 약속하거나 지금 짓고 있다면 관세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