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정 넘치는 두 명의 PB가 변화하는 섹터와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 언급한 섹터/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고,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 여부를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 작성된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Информация о канале обновлена 08.10.2025.
열정 넘치는 두 명의 PB가 변화하는 섹터와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합니다.
* 언급한 섹터/종목에 대해 매수/매도를 제안하지 않고,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 여부를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 작성된 자료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리포트 정리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blog.naver.com/s1kkw/224032563178
* 주간 리포트 정리 코멘트
- 긴 연휴를 앞두고 영업일 수가 1일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인 장 분위기 덕분인지 리포트 숫자는 이전 주간과 비슷한 수준
- 반도체 애널리스트들 추정치 상향 조정을 바탕으로 강력한 톤의 보고서 이번 주에도 쏟아지는 중. 국내외 투자자들 만난 후 후기를 작성한 보고서들에는 모두 투자자들이 반도체 호황을 모두 확신하고 있다는 언급이 되어 있음
- AI반도체에서 컨벤셔널 메모리로 확산된 애널리스트들의 관심이 기판 등 테크 전반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모습. 관련이 덜 해 보이는 LG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업종까지도 톤이 강해지는 중
- 산업재 섹터 애널들의 톤도 여전히 매우 강한 상태이며 기존 관심이 많았던 K소비재 관련해서는 저가 매수를 적극 추천하는 리포트 꾸준히 발간되는 중
1. 반도체 Weekly: 실적 상향을 기다리며 비중확대 (하나 김록호)
2. LG디스플레이: 비상(飛上), 시작~ (대신 박강호)
3. 해성디에스: DDR5 중심으로 업황 회복에 동참 (메리츠 양승수)
4. 전략 - 이그전: 역대 추석 연휴 전후 수익률과 4분기 증시 환경 (KB 이은택)
5. 비에이치아이 - 3Q25 Pre: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 점검 (신한 최규헌)
6. 게임: 도쿄게임쇼2025 참관기 (NH 안재민)
7. 증권: 실적이 바탕이 되는 정책 수혜 업종 (KB 강승건)
8. NAVER: 가상자산 사업 결합 시 AI 디레이팅 분쇄 가능 (DS 최승호)
9. IT하드웨어: 기판의 부활 (NH 황지현)
10. 심텍: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한다 (NH 황지현)
11. 반도체: 미국 마케팅 Key Takeaways (한국투자 채민숙)
12. 한국항공우주: 조삼모사, 대기만성 (다올 최광식)
13. 우주산업: 스페이스X 아니어도 기회는 있다 (NH 이재광)
14. 에이피알: 신고가가 당연한 실적 흐름 (LS 조은애)
15. 코스메카코리아: 주요 고객사 수주 잭팟 (다올 박종현)
16. 게임/엔터: 소프트파워 한일전 (현대차 김현용)
17. 의료기기 - 글로벌 의료기기: 심혈관 질환 기기 시장, 심장을 바쳐라 (삼성 정동희)
18. 전략 - 10월 전략: 다 얻을 순 없지만, 필요한 건 얻을 수 있다 (KB 이은택)
19. 운송: 돌다리 맞습니다. 그만 두드리셔도 됩니다 (KB 강성진)
20. 두산: 바다는 비에 젖지 않는다 (대신 양지환)
21. 한화엔진: 3Q보다는 4Q부터 강력해질 예정 (다올 최광식)
22. 반도체: 하이브리드 본더, 누가 더 잘할까? (신영 박상욱)
23. 소비재 - 유통업종: 내수와 인바운드의 콜라보 기대 (미래에셋 배송이)
24. Tech: 반도체 소부장 Corporate Day takeaways (삼성 문준호)
25. S-Oil: 정제마진 강세 지속 (신한 이진명)
26. 반도체: 스타게이트, HBM 우려를 넘은 기회 (KB 김동원)
27. 롯데관광개발: 아직 10월 전인데도 이 실적 (DS 조대형)
28. 조선/방산/기계 - HD현대 그룹사 콥데이 후기: 되는 그룹 (신한 이동헌)
29. 의료기기/화장품: 반등 포인트 마련 (다올 박종현)
30. 전략 - 이그전: 코rong>스피/반도체 영업이익, 아직 20% 정도만 반영한 듯하다 (KB 이은택)
31. SK하이닉스 - 3Q25 Pre: 전인미답의 길을 가다 (한국투자 채민숙)
32. 자동차 - 현대차그룹 9월 판매: 미국 MS 사상 최고치 달성 (SK 윤ong>혁진)
* 주간 회사별 지분보고서 제출 상황, 주간 Global ETF Flow 그리고 위클리 자료 모두 25.10.12.일 업데이트 하도록하겠습니다.
행복한 추석 명절 보내세요!!!
(https://m.blog.naver.com/s1kkw/224029852079)
美 9월 민간고용 예상 밖 감소…8월 수치도 대폭 하향(아시아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61008?sid=104
: 9월 미국 ADP 민간고용이 -3.2만건 감소로 예상치(+4.5만건 증가)를 크게 하회하며 23년 3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보여줌. 8월 데이터도 +5.4만건 -> +0.3만건 증가로 대폭 하향 조정. 고용 둔화 신호가 누적되고 있음
"최대 월 120만장인데"...오픈AI, 삼성·SK에 HBM용 D램 90만장 요청(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92868?sid=105
웨이퍼 '월 90만장' 만들려면…이재명 대통령 '금산분리 완화' 검토 지시(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59141?sid=100
: 오픈AI 샘 올트만과 대통령,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만남. 현재 기준 디램 CAPA가 삼성전자 월 60~65만장 / SK하이닉스 월 50만장인데 오픈AI가 월 90만장을 요청했다는 보도. 당장 현실적이진 않지만 어쨌든 물량이 명기되어 보도가 나옴. 어쨌든 엄청난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고 대통령은 금산분리 완화 검토까지 언급
오픈AI, 전남·포항에 AI전용 데이터센터 짓는다(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68498?sid=100
: 추가로 삼성/SK와 JV를 세워 전남과 포항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는 발표. 국내 데이터센터 건설 소식도 매우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블랙록의 투자도 곧 나올 수 있을 것
"트럼프, 의약품 100% 관세 연기하고 제약사와 약가 협상"(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131523?sid=101
: 트럼프는 이번에도 관세 부과 직전까지 몰고간 후 유예하며 협상을 추진하는 모습. 다행이면서도 점점 시장이 이를 미리 알아채고 반응을 둔감하게 하기 시작하는 것도 느껴지고 있음
美 "멕시코, 中에 반도체 의존 안돼"…中 "강력한 불만" 반발(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63704?sid=104
: 미국은 이제 인접 우방국인 멕시코의 중국 반도체 의존에 대해서까지 압박을 가하기 시작. 멕시코 이외 국가들도 점점 이러한 압박이 가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중국 입장에서는 당연히 강한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상황
‘트럼프웨이’ 따르는 유럽, 철강 관세 2배로 올리고 품목관세 논의도(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38263?sid=104
: EU 집행위가 수입산 철강 관세를 25% -> 50%로 인상하는 것을 추진. 마크롱은 품목 관세 확대도 주장하기 시작. 트럼프의 미국에서 시작된 보호무역이 글로벌하게 점점 강화될 수밖에 없는 흐름
김용범 "美에 3500억불 MOU 보냈다. 답 기다리는 중"(프레시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408804?sid=100
: 수출 중심 국가인 우리나라는 이러한 환경이 쉽지 않은 국면임은 분명. 미국과의 협상은 MOU 수준에서 합의가 된다면 그나마 매우 다행일 것으로 보이는데 쉽게 받아줄 지는 의문
美, 전기차 보조금 중단에… 현대차는 할인, 닛산은 생산 중단(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2595?sid=103
BYD, 3분기 매출 5년만에 뒷걸음…"내수부진·출혈경쟁 단속 탓"(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63092?sid=101
: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중단으로 완성차 업체들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 미국 외 시장에서 크게 성장을 보여주던 비야디까지 역성장이 나타나기 시작.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전체적으로 둔화세가 지속되는 중. 반대로 추후 반전의 흐름을 잡는다면 기회가 될 수는 있을 것
아모레 넘고 시세이도 제쳤다…‘K뷰티 신흥 강자’ 어디까지 뛸까(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68458?sid=101
: 명실상부 최고의 K뷰티 기업에 등극한 에이피알. 테크 쏠림으로 시장 관심에서 약간은 벗어나있으나 조용히 또 최근 신고가를 기록하는 중. 3분기 관련 데이터도 매우 견조한 것으로 보임. 추후 구다이글로벌이 상장할 경우 K뷰티 Big2는 이 둘이 될 것이 명확해 보임
[실리콘 디코드] 삼성전자, 2나노 수율 50% 확보…'엑시노스 2600' 양산 개시(글로벌이코노믹)
https://www.g-enews.com/view.php?ud=202510021020482356fbbec65dfb_1
: 삼성 파운드리의 수많은 밸류체인들이 삼성 파운드리의 2나노 수율과 엑시노스 2600 양산 성공 여부에 큰 연관이 있을 수밖에 없는 국면. 메모리 반도체가 강력한 업황을 보여주는 가운데 삼성 파운드리까지 가세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
‘8조 시장’ 열리는 광 반도체… TSMC, 엔비디아 이어 브로드컴과 맞손(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2379?sid=105
: 테크 전반 분위기가 좋아지는 흐름이기에 향후 미래와 연관된 기술에는 더욱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국면. TSMC, 엔비디아, 브로드컴이 모두 관심이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스터디 필요
[단독]두산, SK실트론 인수 유력(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2956?sid=101
: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 두산그룹은 반도체 사업 포트폴리오를 M&A 통해 추가로 강화하려는 모습
[단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美 자주포 수출 꿈' 다시 꾼다…도입 사업 재개(더구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92661
: 미국에 대형 수주를 한다면 이는 다른 국가들과는 차원이 다른 레퍼런스를 보유하게 되는 것. 테크로 수급이 쏠리는 와중에도 방산 관련 대장주들은 흐름이 꺾이지 않는 모습인데 모두 기대요소들이 많기 때문
(https://m.blog.naver.com/s1kkw/224028576876)
美예산안 최종일 처리 불발…7년만의 '셧다운' 돌입 수순(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60478?sid=104
: 2018년 이후 약 7년 만에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돌입. 다만 오히려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미국 지수가 소폭 상승했고 우리나라 시장도 나쁘지 않은 모습. 대체적으로 상승장의 특성인 악재를 악재로 반영하지 않는 분위기 지속
9월 수출 '역대최대' 659억달러…반도체·자동차 '쌍끌이'(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60317?sid=101
: 관세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9월 수출은 YoY +12.7%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 기록. 특히 반도체가 강한 업황을 반영하며 +22% 증가. 자동차도 최근 어려운 상황임에도 +16.8% 증가하며 4개월 연속 증가세
“중국인들 몰려와 다 쓸어갔다”…‘매출 100배↑’ 대체 뭐 샀나(세계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4072379?sid=101
유통가 북적북적…中단체관광객 K팝앨범·푸드·뷰티 싹쓸이(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58944?sid=101
: 중국인 무비자 단체 관광객들이 몰려오기 시작. K푸드/K뷰티/K패션 등을 쓸어가기 시작하면서 유통가에 활기가 돌기 시작한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음
"K-일상에 꽂혔다"…방한 외국인, 뷰티 시술부터 쇼핑까지 소비 급증(한국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92005?sid=101
: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인 외국인 인바운드 관광객 추이 속에서 중국인 무비자 단체 관광객들까지 들어오기 시작하는 국면. 이미 인바운드 증가 수혜를 입고 있던 쪽은 당연히 더 좋아질 수밖에 없음
소비쿠폰 반짝 약발?…8월 소매판매 2.4%↓, 넉달만에 마이너스(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657943?sid=101
: 반등했던 내수 지표는 소비쿠폰 효과가 사라지자 바로 반락하는 모습. 한계가 느껴지는 모습인데 외국인 인바운드 효과가 소매판매 지표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수준의 영향력이 있을 지 관심
野, 2000만원 이하 주식 배당소득세율 ’14→9%' 인하 추진(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2130?sid=100
: 야당에서도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배닥소득세율 인하에 대한 적극적인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음. 양당에서 모두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에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결론이 나올 가능성이 꽤나 높아 보임
미 상무장관, 대만에 “반도체 절반 미국에서 만들어라”(경향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400096?sid=104
: 미국과 대만의 관세 협상도 여전히 이어지는 중. 러트닉 상무장관이 미국 내에서 반도체 절반을 제조하라고 압박 중이나 대만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언급.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대만도 미국의 무리한 요구 속에서 쉽게 미국과 협상 마무리를 하지 못하는 상황
범용 D램 가격 6달러 돌파…6년 8개월만(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537422?sid=105
: DDR4 평균 고정가격이 MoM +10.5% 상승하며 19년 1월 이후 첫 6달러 돌파. 낸드도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는데 고정가격에도 최근의 업황 분위기가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음
[실리콘 디코드] 日 키옥시아, AI발 낸드 특수…생산력 2배로 삼성·SK 맹추격(글로벌이코노믹)
https://www.g-enews.com/view.php?ud=202510010743439613fbbec65dfb_1
: 낸드 업황이 매우 부진했던 시기 고생했던 키옥시아가 자신감을 찾는 모습. 낸드 시장이 수년간 연 20%씩 고성장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5년 내에 생산능력을 두 배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도 언급
삼성전자, 애플 CIS 초도 물량 '월 1000→4000장' 확대(딜사이트)
https://dealsite.co.kr/articles/149036
: 초도 물량은 4배 늘어났으나 아주 의미가 큰 수준은 아니며 양산 시점은 일부 딜레이되고 있다는 소식. 다만 양산 시작 후에는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음
테슬라·애플, 반도체 유리기판 도입 타진(전자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355539?sid=105
: 전일 놓친 뉴스인데 테크 업황이 돌면서 파생된 여러 미래 유망 분야까지 온기가 퍼지고 있음. 테슬라와 애플이 실제 관심이 있다면 시장 규모가 의미 있게 커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인식될 것
[단독] 최태원·올트먼 오늘 낮 회동…AI반도체·통신사 특화 AI 등 논의(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567893?sid=101
: AI Capex 확장 속에 관계된 기업들 총수끼리는 잦은 만남이 계속되는 중. 어떠한 협력이 또 나올 지 궁금해질 수 있으며 AWS와 같이 국내 데이터센터 이야기가 나올 가능성도 존재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25년 8월 외국인 방한 관광객 수가 발표되었습니다. 7월 보다 8월이 성수기였기에 예상대로 다시 한번 역사상 월별 최고치가 경신되는 모습입니다.
8월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무려 1,820,332명으로 이전 역사상 최고치인 바로 전 달 25년 7월을 +5% 상회하였습니다. 이전 8월 최고치인 16년 8월 대비로는 +9.4%, 작년 8월 대비로는 +16.4%가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9월은 상대적으로 8월 대비로는 비수기이기 때문에 역사상 최고치가 재차 경신되기는 어려울 수 있겠으나, 이전 달인 7월도 완전한 최고 성수기는 아니었음에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조금은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또한 이전에 언급드린 바와 같이 케데헌 열풍이 시작된 시기와 여행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아직 본격적으로 케데헌 열풍으로 인해 방한 외국인이 급증할 수 있는 시기는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또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정책도 이제야 시작되었습니다. 현재의 강력한 추세가 시간이 흐를 수록 더욱 강력해질 수도 있다는 기대를 만드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로 볼 때, 지속적으로 외국인 인바운드 수혜 업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판단입니다. 최근에는 백화점 등 유통업체 애널리스트들도 외국인 인바운드 수혜가 있을 수 있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매월 200만명에 가까운 관광객이기 때문에 실제 수혜가 있을 수 있고 그 강도에 대한 체크도 필요해 보입니다.
길게 보자면 과연 월별 방한 관광객 수가 얼마나 높은 레벨까지 올라갈 수 있을 지도 점점 궁금해지는 국면이라는 생각입니다.
(https://m.blog.naver.com/s1kkw/224027342750)
다이나믹했던 이번 3분기도 모두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단독]시진핑 숙소 거론됐던 신라호텔 “결혼식 변경 안해도 된다”(동아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64560?sid=101
시진핑, 경주서 2박 3일… 李대통령·트럼프와 연쇄 회담(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2128?sid=100
: 신라호텔이 APEC 기간 예정됐던 결혼식을 돌연 취소하며 이슈가 되었는데 이것이 다시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하며 시진핑 서울 방문 관련하여서도 노이즈가 발생. 다만 경주에서 머물며 회담을 연달아 진행한다면 크게 이상한 그림은 아닐 수 있음
미, 화웨이 등 중국 기업 자회사에도 수출 규제…세계 공급망 ‘흔들’(한겨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69030?sid=104
: 규제 대상 기업이 50% 이상 지분 보유한 자회사도 자동 수출 규제. 공급망에 혼란을 줄 수도 있겠으나 워낙 많은 규제들이 상수처럼 지속되고 있기에 이제 시장이 충격을 받진 않는 모습
사망사고 한건에 중복 과징금, '사상 초유' 현실화 되나… 건설업계 패닉(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14064?sid=101
: 정부여당이 과징금 방안을 여럿 추진하면서 사망사고 한 번에 과징금만 세 차례 부담하는 초유의 상황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 사망 사고가 나오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으나 현실적으로 관련 업종에는 계속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밖에 없을 듯
7년만에 돌아온 D램 슈퍼사이클(서울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38997?sid=101
: 오늘도 주요 언론사에서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대한 뉴스는 계속되고 있음
SK하이닉스, HBM4 베이스다이 상향 조정(더벨)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9251646143760109590
: HBM4 퀄테스트가 길어지는 과정에서 엔비디아의 요구 사항이 상향 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다이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것으로 보임. 결론적으로는 요구 사항을 잘 맞춰가고 있다는 요지의 보도
[단독] 삼성전자, 시선 추적 '스마트 안경' 특허 출원…"착용감 개선, 대중화 박차"(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511353
: 메타의 신제품 출시로 점점 더 관심이 커져가고 있는 스마트 안경 시장에 삼성전자도 조만간 해당 특허를 바탕으로 신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됨
"챗GPT 대화하다 즉시 구매"…오픈AI '즉시 결제' 출시(뉴스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19104?sid=105
: 엣시/쇼피파이와 협력하여 챗GPT와의 대화 과정에서 외부 이동 없이 즉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 출시. 오픈AI도 이 과정에서 일정 수수료를 수취할 예정. AI가 본격적으로 커머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에 가까워지고 있음. 추가로 당연히 경쟁사들도 비슷한 서비스를 서두르며 경쟁이 격화될 것
중국 최대 민영 조선소, 美 제재에 수주 물량 취소(더구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92514
: 유료 기사여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긴 어렵지만 미국의 제재가 실제 중국 조선사들의 수주 및 건조에 영향을 끼치는 사례가 꾸준히 나오고 있음. 우리 조선사들에게는 당연히 강한 수혜
美 싱크탱크 "미국 원자력 경쟁력, 한국 없이 불가"(더구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92511
: 중국-러시아의 시장 장악을 막기 위해 미국-한국이 원자력 시장에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싱크탱크의 보고서가 나옴. 최근 분위기로는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으나 우리 정부의 원전에 대한 스탠스로 볼 때 이러한 의견들이 꾸준히 나와주는 것도 중요해 보임
한화 ‘타이곤’ 장갑차 사우디서 노출… “수출 임박” 관측(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11764?sid=101
: 최근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도 사우디를 방문하였는데 이러한 소식까지 나오면서 점점 더 대형 수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방산은 꾸준히 대형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뉴스 플로우가 지속되는 중
Владелец канала не предоставил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но Вы можете сделать ему запрос на ее получение.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Также Вы можете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асширенным поиском и отфильтровать результаты по каналам, которые предоставили расширенную статистику.
Подтвердите, что вы не робот
Вы выполнили несколько запросов, и прежде чем продолжить, мы ходим убелиться в том, что они не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е.